A Study of Architectural and Design Elements of Secondary Shirines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Korea

한국 전통사찰에 있어서 부불전의 건축요소와 의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Cho, Jeong-Sik (Dept. of Architecture and Engineering, Dong-guk University)
  • Received : 2010.08.26
  • Accepted : 2010.11.1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of secondary shrines i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Korea. For this study, a survey of six kinds of secondary shrines (Myemgbujem, Yeongsanjeon, Eungjinjem, Yaksajeoun, Gwaneumjeon, Mireukjeon), according to specified design elements(building sizes, roof styles, Gongpo, Dancheong, shape of Datjip),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Myeongbujem is built in every temples(25 examples), most having simila1ities in sizes and architectural elements(roof, Gongpo structure, Dancheong, Datjip). The majority of Yemgsanjeon(l4 examples) and Eungjinjem shrines(l5 examples) are mostly 3-Gan sized buildings, having a Matbaejibung and Ikkmg structural system. Gwaneumjeon, on the other hands, has 1he most elaborate architectural elements. Among 12 cases, 8 buildings have Paljakjibung, 9 buildings have Silk-Dancheong in innerspace, and Datjip are included in six buildings. Yaksajeon shrines are small in mnnber, but most of these shrines have a Dapo structure, and, despite of their size, ar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본 연구는 전통사찰에 자리잡고 있는 부불전의 건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5개 사찰을 대상으로 건축요소와 의장요소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이 된 한 부불전은 명부전, 영산전, 응진전, 약사전, 원통전, 미륵전이며, 이들에 대하여 건축의 규모, 지붕의 형태, 공포구성, 단청, 닫집의 유무 및 형태를 상호비교하여 부불전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명부전은 모든 사찰에 조성되어 있지만(25사례)규모나 건축요소(지붕, 공포)등에서 가장 획일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영산전(14사례)과 응진전(15사례)도 대부분 3간 규모이며, 맞배지붕과 익공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관음전(12사례)은 팔작지붕의 사례가 8사례이며, 내부의 단청도 금단청을 사용한 사례가 9건, 그리고 닫집이 있는 경우도 6건에 이르는 등, 부불전 중에서 가장 화려한 건축요소가 구사되어 있다. 약사전은 사례수는 적지만(6건) 대부분이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소규모 건물임에도 불구하고 각 사찰의 약사전은 대부분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건축적 가치가 높이 평가 받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봉렬(1989)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전각구성과 배치형식 연구 -교리적 해석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대학원.
  2. 김봉열,이광노(1988)極樂淨土信仰과 淨土系寺刹의 伽藍配置.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 김정기(1982)한국의 목조건축. 일지사.
  4. 김정수(1974) 한국의 종교건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5. 김현준(1998)사찰,그 속에 깃든 의미.대원사.
  6. 문명대(1977)한국의 불화.열화당.
  7. 배병선(1986)한국 사찰건축 구성형태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8. 서치상(1983) 승주 松廣寺의 복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9. 孫勝光,林忠伸(1986)通度寺殿閣들의 營造尺度考察.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0. 안영배(1980)한국건축의 외부공간.보진재.
  11. 안영배(1981)通度寺伽藍配置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 윤희상(1987)조선 후기 사찰 본당의 형식특성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13. 이규성(1985)整然한 建築體系로서의 通度寺建築.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4. 장기인(1985)한국건축사전.보성문화사.
  15. 이재헌(1981)불사의 禮佛空間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16. 田有泰(1984)佛影寺應眞殿修理報告.文化財17호
  17. 전종인(1983)한국 불사건축의 공간분석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대학원.
  18. 하헌정(1987)觀龍寺伽藍配置및 外部空間구성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 홍윤식(1986) 韓國의 佛敎美術.대원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