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ocumentation Method of Gangneung Danoje

강릉단오제 기록화 방안에 대한 연구

  • 권소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김익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Intangible Culture Heritage can show its face only by representation of people in no form. Accordingly, if there are not people who represent Intangible Culture Heritage or records which is about Intangible Culture Heritage, we can see its appearance any more. Now on, Intangible Culture Heritage preservation policy of Korea is incomplete, so polices that Intangible Culture Heritage keeps on its values permanently, are essential. This study starting from these critical mind, suggests documentation method of Gangneung Danoje. This study designs documentation plans of Intangible Culture Heritage considering whore its whole lifecyle that produced, keened, used, preserved. To document the Gangneung Danoje, the target of documentation is selected and divided as ceremony, transm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related data. the ceremony and transm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of Gangneung Danoje are recognized by building the business process, so records that produces whenever business act produce, subjects who produce the records, the spot where records are produced. A related data is not the target of documentation produced as continual business, but something to worthy of keeping as records is selected.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ceremony, transm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related data, this study selects objects to documentation and suggests method of documentation and subjects who document records.

문화자원 기록화에 대한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문화자원 중에서도 무형 문화재(無形文化財)는 재현하는 사람이 없거나, 무형문화재 관련 기록이 남아있지 않으면 더 이상 재현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기록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강릉단오제의 기록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형문화재가 생성, 유지되고, 보존되는 생애 전 과정을 고려한 기록화 방안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강릉단오제를 기록화 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록화 대상을 지정하였으며, 기록화 대상은 강릉단오제의 본자원과 보조자원으로 구분하였다. 강릉단오제의 본자원과 보조자원의 대상에 대해 업무 프로세스를 세워 업무 행위마다 발생되는 기록과 그 기록을 생산하는 주체, 기록이 생산되는 지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기록화 대상에 대해서는 기록화 방법을 제시하였고, 기록화 주체를 제안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무형문화유산 기록화와 전수교육관에 대한 연구 vol.56, pp.None, 2010, https://doi.org/10.20923/kjas.2018.56.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