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for Success Factors of Social Network Game Towards Farmville Game

소셜네트워크게임의 성공요소분석 : 팜빌 게임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0.10.29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Currently social network games with an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iends, especially women users and the elderly users of over forties, have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game market attracting large audiences. Though recent interest in social network games and the explosive propagation of social network game into game industry, scholarly research for social network game is insufficien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success factors for successful social network games through the depth interview with game experts. We suggest the guidelines for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game. Commercial success of social network games and the number of users with the best game, farmville, were investigated for understanding key success factors in social network game field. As a result, social interaction, simple interface, asynchronous method, instrumental rationality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This result of the study will expect the guideline in order to develop a successful social network games.

최근 소셜네트워크게임은 지인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면서 여성 유저들과 40대 이상의 고연령층 유저들을 게임 시장으로 끌어내는 등 이용자층 확대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래서 소셜네트워크게임에 대한 관심과 산업적 확산이 폭발적인 데 반하여 소셜네트워크게임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게임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최근 성공한 소셜네트워크게임의 성공요인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발 지침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소셜네트워크게임 가운데 상업적으로 성공하고 최고의 이용자 수를 갖고 있는 대표적인 게임인 팝벌을 대상으로 핵심 성공요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교류, 간단한 인터페이스, 비동기 방식, 도구적 합리성 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성공적인 소셜네트워게임을 개발하기 위한 지침으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유진, 배국진,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의 동향과 전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Emergingg Issue Repot, 2008.
  2. F. B. Vi'egas, J. Donath, "Social net work visualization: Can we go beyond the graph," Workshop on Social Networks, CONFERENCE CSCW, pp.6-10, 2004.
  3. C. B. John, W. Mitchell, "Got Ganme: How the Gamer Generation Is Reshaping Business Forever,: Harvard Business Press, USA, 2004.
  4. 김미진, 송승근, "퀘스트 시스템에 대한 게임플레이어 감정패턴 분석: 마비노기 Tutorial Mode 를 중심으로, " 한국게임학회, Vol 10, no.4, pp. 15-22, 2010.
  5. 김태현, "실시간 소셜웹 주도권 경쟁 : 페이스북vs 트위터 vs 구글버즈," KT경제경영연구소, 연구보고서, 2010.
  6. http://underboy.egloos.com/5253808
  7. 한혁수, 김초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와 웹 접근성 평가," 감성과학, Vol. 12, No. 4, pp. 481-488, December 2009.
  8. 김지용, 반영환, 정지홍, "Social Presence을 고려한 Social Network Game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봄국제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68-69, 2010.
  9. 박상우, "대중 문화 속에서의 게이머와 게임의 경제, "China and Korea New Challenge of Game Culture Crossing the Border, Inter-asian Conference for Game Culture, Shanghai, China, 2010.7.31
  10. 김신규, 염헌영, "초대형 사회망에서의 정보 흐름의 시각화 프레임워크," 한국 인터넷 정보학회, Vol.10, no.3, pp.131-140, 2009.
  11. http://2ndfinger.com/1040

Cited by

  1. The structure of affection descriptors for social network game: case study of CityVille on facebook vol.68, pp.2, 2014, https://doi.org/10.1007/s11042-012-1310-y
  2. 스마트 기기 상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사용자 수용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 vol.16, pp.5, 2010, https://doi.org/10.9723/jksiis.2011.16.5.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