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Fairly Tale Mokdoryung, Son of Tree

한국민담 '목(木)도령'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 Jin-Sook Kim (Department of Arts Psychotherapy.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C.G. Jung Institute of Korea)
  • 김진숙 (명지대학교 특수대학원)
  • Received : 2010.10.29
  • Accepted : 2010.12.10
  • Published : 2010.12.25

Abstract

A brief story of the tale follows : Mokdoryung was a son of an arbor tree and a fairly. When the boy was 7-8 years old, mother-fairy returned to the sky. By using father-tree, Mokdoryung survived from the flood where he saved ants, mosquitos, and a boy with the same age. They arrived on top of the highest mountain, met an old woman with two daughters, worked as servants. With help of insects, Mokdoryung passed the trials, married to a wise daughter and 2 couples became the ancestor of the mankind. Interpretation of the tale starts with amplification of tree which symbolizes Self and Libido. As the son of the tree-spirit and a fairly from the sky, Mokdoryung is a kind of 'divine child' which represents a psychic possibility to understand archetypal nature of unconscious. Adversities of early childhood due to mother's absence regarded as necessary condition for 'divine child' to attain highest good. Flood can be compensation of absence of feminine as well as to bring a new life. The notion of father·tree becomes a kind of life-boat has to do with union of opposite(vertical phallic tree and horizontal feminine boat). Ants and mosquitoes represent upper and lower level of unconsciousness, they mediate divine power. Therefore respecting insects means respecting unconscious, and reward of insects means salvation come from unconscious. The boy saved from the flood presents emergence of psychic energy in its latent unconscious condition to create mental dynamism. The old woman is Great Mother or anima, the controller or guider of unconscious. Working as servants can be an active service for the divine marriage. Trials of separating millet from sand, and finding right direction relate to separatio, means one needs to be separated from unconscious before conunctio, union of opposite. Two sets of couple becoming ancestor of man-kind has to do with number 4 (quaternity) as well as regeneration. Although the tale includes both positive couple (Mokdoryung, wise daugther in east room). and negative couple(shadow side of Mokdoryung, step daughter in west room)as ancestors of mankind, "Good" seems to be more valued than "evil".

민담 <목도령>의 줄거리를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목도령은 선녀와 나무의 아들로서 아버지·나무의 도움으로 홍수에서 살아남은 뒤 홍수에서 구해준 사내아이와 함께 세상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에 있는 할머니의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게 된다. 할머니에게는 친딸과 의붓딸이 있었는데 홍수에서 구해준 개미와 모기의 도움으로 목도령은 할머니의 친딸과 결혼하고 사내아이는 의붓딸과 결혼하여 두 쌍의 부부가 되어 새 인류의 조상이 되었다는 내용이다. 대상민담을 해석하기 위하여 먼저 중심적인 모티브인 나무의 의미를 확충하여 나무가 자기와 리비도의 상징이며 탄생의 주체인 동시에 세계수이자 지혜를 의미하고 이러한 나무의 정령과 천상의 선녀사이에서 탄생한 목도령은 '신성한 아이'로서 무의식의 원형을 인지하게 되는 잠재력의 출현으로 보았다. 선녀·어머니가 7~8세에 사라짐은 최고의 선(善)에 이르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필수적인 조건이고 여성성의 부재에서 출현한 홍수는 무의식의 보상작용으로 보이며 대상 민담에서 홍수를 징벌이 아닌 자연현상으로 보는 점은 만물자화(萬物自化)의 도가사상에 바탕을 둔 동양의 정신사적 배경과 관련이 있지 않나 생각되었다. 남근적인 나무가 홍수와 함께 쓰러지고 여성성적인 배의 역할을 하는 것은 시대의 조류로 가부장적 체계가 붕괴되고 전체를 향하게 된다는 의미와 연관된다고 보았고, 물에서 구해낸 개미와 모기는 본능의 상하(上下)양면을 대변하며 신성을 매개하고 있고, 그들이 도움을 준다는 것은 무의식에서 도움이 온다는 것이다. 홍수에서 구한 사내아이는 수면상태에 있던 삶의 부분이 깨어나 양극의 긴장을 삶 속에서 경험하는 것과 연관되고, 아이들을 키워서 새 인류의 조상이 되게 하는 할머니는 국모신이자 태모의 상징으로서 전체성에 이르게 하는 무의식의 근원적 조절자이다. 두 아이의 머슴살이와 할머니가 목도령에게 준 이니시에이션의 시련은 의식의 수준을 낮추어야 무의식이 활성화되며 무의식의 도움으로 통합이 실현된다는 목적의미를 가지며, 조과 모래, 동쪽과 서쪽을 구별하는 작업은 합일을 위해서 먼저 분리를 해야 한다는 것과 연관된다. 두 쌍의 남녀 사위(四位, quaternity)가 새 인류의 조상이 된다는 것을 전체를 의미하는 숫자 4에서 정신의 중심이 생기면서 갱신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저자는 또한 대상 민담에 나타난 여러 다른 사위의 구조를 추정하여 그 상징적 의미를 융의 자기의 구조에 관한 생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 민담에서 주목할 것은 목도령과 할머니의 친딸, 동(東)방의 양성적(陽性的)인 측면뿐 아니라 그 대극에 해당하는 의붓딸, 서(西)방, 그리고 목도령의 그림자로 이루어진 음성적(陰性的) 측면을 함께 인류 조상의 두 쌍으로 정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둘 중에 양성적인 측면인 선(善)한 면에 더 무게를 두고 있지 않나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형효(2004) : ≪사유하는 도덕경≫, 소나무, 서울
  2. 김태곤(1971) : ≪한국 무가집≫, 원광대 민속학 연구소, 전북
  3. 박시인(1994) : ≪알타이 神話≫, 청노루, 서울
  4. 박 신(2004) : ≪부성콤플렉스의 분석심리학적인 이해≫, Diploma Thesis of C.G. Jung Institute of Korea
  5. 손진태4280(1947) : ≪韓國說話의 硏究≫, 佛典에서 나온 民族說話 편, 1953, 을유 출판사, 서울
  6. 손진태, 강혜정, 김현선, 이경애(2000) : ≪한국민화에 관하여≫, 역략, 서울
  7. 손진태(2009) : ≪조선설화집≫, 최인학 옮김, 민속원, 서울
  8. 장주근(2000) : ≪풀어쓴 한국의 신화≫, 집문당, 서울
  9. 정재서(2004) : ≪이야기 동양신화 1≫, 황금부엉이, 서울
  10. 조철수(1996) : ≪수메르 신화≫, 서해문집, 서울
  11. 조희웅(1996) : ≪한국설화의 유형연구≫, 일조각, 서울
  12. 조자용(1995) : ≪삼신민고≫, 도서출판 가나아트, 서울
  13. 한상수(편)(1980) : ≪한국민담선≫, 정음사, 서울
  14. 임석재(편)(1972) : ≪한국구전설화≫, 임석재 전집 1-4. 평민사, 서울
  15. 李能和(1929) : 朝鮮神事誌, 1978, 韓國學硏究所
  16. 이부영(1995) :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서울
  17. 이부영(1987) : "元曉의 神話와 眞實", ≪불교연구≫ 3: 97-112
  18. 이부영(1998) : ≪분석심리학≫(개정판), 서울: 일조각
  19. 이부영(1999) : ≪그림자≫, 한길사
  20. 이부영(2002) :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21. 임채우(옮김, 2005) : ≪왕필의 노자주≫, 한길사, 서울
  22. 융, C.G.(2002) : 융 기본저작집 2 ≪원형과 무의식≫, 솔 출판사, 서울
  23. 융, C.G.(2003) : 융 기본저작집 3 , ≪인격과 전이≫, 솔 출판사, 서울
  24. 융, C.G.(2004) : 융 기본저작집 6 ,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솔 출판사, 서울
  25. 융, C.G.(2004) : 융 기본저작집 9 , ≪인간과 문화≫, 솔 출판사, 서울
  26. 융, C.G.(2005) : 융 기본저작집 7 , ≪상징과 리비도≫, 솔 출판사, 서울
  27. 융, C.G.(2006) : 융 기본저작집 8 , ≪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 출판사 서울
  28. 최내옥(1980) : "한국홍수의 변이양상", 한국민속학, 12 집
  29. 최상수(1984) : ≪韓國民間傳說集≫, 通文館, 서울
  30. 한국문화상징편찬위원회(1996) : ≪한국문화상징사전 1. 2≫, 두산동아, 서울
  31. 그림형제(김열규 옮김, 1999) : 그림형제 동화전집, 현대지성사
  32. 미하엘 쾰마이어(편)(1966) : 볼핀치 원작 ≪그리스 로마 신화≫, 유혜자 옮김, 2002, 현암사, 서울
  33. 비얼레인(1994) : ≪세계의 유사신화≫, 현준민 옮김(1996), 세종서적
  34. Ackroyd, E.(1993) : ≪꿈 상징사전≫, 김병준 옮김, 1997, 한국심리치료연구소
  35. Apt, T.(2005) :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 이유경 역, 2008, 분석심리학연구소
  36. Brosse, Jacques(1989) : ≪나무의 신화≫, 주향은 역, 1998, 어학사, 서울
  37. Edinger, E.(1984) : The Creation of Consciousness, Inner City Book, Toronto
  38. Edinger, E.(1985) : Anatomy of Psyche: Alchemical Symbolism in Psychotherapy, Open Court, Illinois
  39. Von Franz, M.L.(1974) : The Number and Tim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40. Von Franz, M.L.(1996) : The Interpretation of Fairy Tales. Shambhala, Boston
  41. Von Franz, M.L.(1999) : The Cat: A Tale of Feminine Redemption, Inner City Books, Toronto, Canada
  42. Von Franz, M.L.(1972, 1995) : Creation Myths, revised ed., Shambhala, Boston & London
  43. Jung, C .G.(1924) : Symbol of Transformation, C.W. 5, Princeton University Press
  44. Jung, C. G.(1950) : Aion, Research into the Phenomenology of the Self, (2nd ed.), C.W. 9, II, Princeton University Press
  45. Jung, C. G.(1938 : Alchemical Studies, C.W. 13, Princeton University Press
  46. Jung, & Kerenyi(1969) : Essays on a Science of Myth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47. Jung, C. G.(1936): Archetype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C.W. 9, I, Princeton University Press
  48. Thompson, S.(1975) : Motif Index of Folk-Literature,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dale & London
  49. Ulansey, D.(1989) : The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Cosmology and Salvation in the Ancient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New York, Toron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