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sconception of the Force in Scientifical Gifted Through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지식상태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들의 힘에 관한 오개념

  • Park, Sang-Tae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10.04
  • Accepted : 2010.12.2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Comparing to the other subject,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s contents is strong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order as grades go up. That is, The things already that students learned, are learning and will learn are closed related from grade to grade. We expect students to be proactive and creative in studying physics, which is the goal of 21th century, analyzing their knowledge structure based on the knowledge order through assessment. Especially, using computer system, we provide students with substantial feedback for the assessment as well as objective validity is increased along with speedy and exact process in a bid to help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grow.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data from assessment applying knowledge spaces of the scientifical gifted in the force and the motion concept to applicate on teaching method.

물리교과의 내용은 다른 과학교과에 비해 비교적 위계관계가 강하다. 즉, 이미 배운 것과 지금 배우고 있는 것 그리고 앞으로 배울 것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런 학습의 위계에 대한 평가는 기존 연구자들이 많은 연구를 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지식공간론' 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기존의 통계처리와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통계처리 과정에서의 오류가 없으며, 수학의 집합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갖고 있는 지식의 위계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처리 과정을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객관적 타당도를 높이고 많은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분석결과를 가시화하여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인에 대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가시화하여 피드백 해주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평가자로부터 제시되는 처치 프로그램 또한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 결과는 수학 또는 과학관련 과목의 성적이 떨어지지만 딱히 그 이유를 분명히 알 수 없는 경우나, 과학 중에서도 어떤 분야에 특별히 더 관심을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2). 지식공간론 입문. 대전: 도서출판 보성.
  2. 권재술, 김범기 (1993). 과학 오개념 편람(역학 편). 청주: 한국교원대학교물리교육연구실.
  3. 교육인적자원부 (1998).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요. 교육인적자원부 홈페이지 (http://www.moe.go.kr)에서 제공.
  4. 변두원 외 (2004). 수학교육에서 평가결과에 기초한 개별화 학습과정의 위계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3(1), 75-85.
  5. AAAS(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Project 2061,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6. Hiebert, J., & Lefevre, P. (1986).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in mathematics: An introductory analysis. In J. Hiebert (Ed.),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case of mathematics (pp. 1-27). Hillsdale, NJ: Erlbaum.
  7. Jean-Paul, D. J., & Falmagne, J. (1999). Knowledge Spaces. Berlin: Heidelberg. Germay: Springer-Verlag.
  8. Olsen, G. W. (1968).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hierarchy of learning tasks involved in the concept of slop. Doctoral dissertation, Univ. of Cornell. Univ. Microfilm 69-8858.
  9. Wood, W. A. (1975). A significant test for ordering theory, Doctoral dissertation, Univ. of Boston college, Univ. Microfilm 75-1-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