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ustomized Technological Leadership Camp Programs for Engineering Students

공과계열 대학생을 위한 맞춤형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 개발

  • 진성희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 김태현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 Received : 2010.07.20
  • Accepted : 2010.11.09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stomized technological leadership camp programs in order that engineering students can be techno-leaders in the future. The camp programs were developed by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methodology. A framework of technological leadership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ases analysis, and key competencies on technological leadership were drawn through needs analysi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participants for needs analysis were 202 engineering students in A university and 22 managers and directors in the companies cooperated with A university. Camp programs focused on key competencies on technological leadership were developed: basic course and advanced course. The programs modified through twice experts committee.

연구의 목적은 공과계열 대학생들이 미래의 조직에서 테크노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소양을 쌓을 수 있는 맞춤형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은 체제적 교수설계 방법론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해 테크노 리더십 프레임웍이 개발되었고 중요도-수행도 분석법을 활용한 요구분석을 통해 핵심개발 테크노 리더십 역량이 도출되었다. 요구분석 대상은 A대학교 공과계열 대학생 202명과 동일대학과 산학협력관계에 있는 기업체관리자 22명이었다. 도출된 핵심개발 테크노 리더십 역량을 중심으로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의 수준별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2회에 걸친 전문가 검토의 과정을 통해 수정 보완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2007).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 신완선(2005). 테크노 리더십. 서울: 김영사
  3. 유승우, 이희찬 (2005). 농촌관광 수요확대 방안 연구. 연구보고 R518.
  4. 장기영, 박경남 (2005). 진대제 테크노 리더십. 삼각형프레스.
  5. 최윤미(2008). 관리자리더십검사 개발 연구 : 암묵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한국경제(2009. 9. 15). 대기업 CEO 이공계 출신 많아졌다.
  7. Ainin, S. & Hisham, N.(2008). Apply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o Information Systems: An Exploratory Case Study. Journal of Inform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Organizations, 3: 95-103
  8. Babcock, D. L.(1991). Management Engineering and Technology. Prentice Hall.
  9. Drucker, P. (2001). The Essential Drucker. NY: HarperBusiness: 김재규 역(2005). 프로페셔널의 조건. 서울: 청림출판.
  10. Jones, T.S., & Richey, R.C.(2000).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in action: A developmental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8(2): 63-80.
  11. Martilla, F., & James, F. C.(199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 (1): 13-17.
  12. Miller, D. C.(1975). Leadership and Power in the Bos-Wash Megalopolis. New York: Wiley- Interscience.
  13. Parker, J. P., & Begnaud, L. G.(2003). Developing Creative Leadership. Portsmouth, NH: Teacher Idea Press.
  14. Yukl, G. A.(2006). Leadership in Organizations(6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5. Yukl, G. A., Wall, S., Lepsinger, R.(1990), Preliminary report on validation of the Managerial Practices Survey. In K. E. Clark., M. B. Clark (Eds), Measures of Leadership, Leadership. NJ: Library of Ame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