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재무관리자의 경제적 불안과 재무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Distress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the Household Financial Managers

  • 김미린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 홍은실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Kim, Me-Lean (Dept. of Family Environment and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 ;
  • Hong, Eun-Sil (Dept. of Family Environment and Welfare,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
  • 투고 : 2010.07.15
  • 심사 : 2010.10.15
  • 발행 : 2010.10.30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level and general propensity of the economic distress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f household financial managers and analyzes the effects of economic distress and the sub dimensions to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verall level of economic distress of household financial managers was middle-levels and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were slightly higher than mid-point. 2. Regarding the household variables on the economic distress of household financial managers, education levels and occupations of husbands, monthly income, financial knowledge were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economic distress. That is, higher education levels of husbands, husbands with management-level/professional-level career, higher monthly income, and higher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generated lower economic distress. 3. Regarding the household variables and the economic distress on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monthly income, and financial knowledge were th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On the contrary, income-asset distress was negative variable. Thus, higher monthly income, higher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and lower level of economic distress generated higher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sub dimensions. From this research,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s are income-asset distresses and financial knowledg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경(1990). 도시주부의 '자산증식을 위한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학가정학회지, 82, 87-103.
  2. 계선자.유을용(2002). 도시전업 주부의 재정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5), 13-26.
  3. 고보선.이영호(1995). 가계경제복지에 대한 객관적 주관적 평가 변인의 영향력. 대한가정학회지 33(6), 269-280.
  4. 곽인숙(1989).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주거소비와 주거이동. 전주우석대학 논문집, 11, 141-159.
  5. 김민정(1994). 객관적 가계재정복지와 주관적 가계재정복지의 상호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미현(1993). 주부의 가정생활상의 stress와 심리적 손상에 관한 연구; 광주시에 거주하는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지, 93, 111-126.
  7. 김순미(1993). 도시가계의 재정상태: 재무관리 및 재정적 만족도 관계분석-체계론의 적용 가능성 검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195-207.
  8. 김시월.박배진(1999). 사교육비 부담의 대처행동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40, 67-79.
  9. 김은양(1994). 부부간의 의사소통과 가계관리행동이 재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정숙(1996). 재정상황에 대한 인지도가 재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6), 405-419.
  11. 김효정(2000). 체계론에 의한 가계의 재무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 및 경남 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53-65.
  12. 노자경.최은숙(1991). 농가의 경제적 복지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2(2), 63-76.
  13. 노자경(1996). 농가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선욱(1996). 가계재정관리 유형에 따른 재정문제와 그 대처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현미(1986). 가정관리능력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배희선.최현자(1996).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농가주부의 재무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 -화폐관리행동, 자녀교육비 대비행동 및 노후준비행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3), 167-179.
  17. 범수인.문숙재(1992).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계의 투자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88, 199-217.
  18. 서정희.홍순명(2000). 대학생의 경제적 불안과 식생활 대처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8(1), 39-49.
  19. 이상협(1999). 도시가계의 재무관리와 재정만족도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34, 71-84.
  20. 이선형(1995). 노인단독가구의 가계재정관리와 경제생활 만족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선형.이연숙(1997). 노인단독가구의 가계재정관리와 경제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 31-43.
  22. 이영옥(1990) 어머니의 가정관리 능력과 청소년의 금전관리 지도.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정우.최덕경(1992). 도시주부의 가정생활문제 인지와 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 115-130.
  24. 이종혜(1993). 도시가계의 경제적 안정도와 재정만족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임정빈.조미환.이영호(1995). 농촌가정의 의사소통, 재무관리행동, 가정생활만족 -Deacon & Firebaugh의 체계적 접근법의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3), 156-169.
  26. 임정빈.조미환.이영호(1998). 도시가계의 재무관리행동과 재정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3), 141-153.
  27. 정서린.장윤옥(2007). 고용.소득관련 변인과 경제적 불안에 따른 주부의 재무관리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5(10), 59-71.
  28. 정운영(2001). 재무관리체계모델을 적용한 도시가계의 재무 건전성.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정운영.황덕순.홍은실(2002). 재무관리행동에 관한 선행 연구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25-138.
  30. 정혜경(1999). 가계의 경제적 불안과 소비행동.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조동필.양세정.배미정(2003). 도시가계의 재무지식 및 재무관리가 객관적 재무건전성과 주관적 재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333-348
  32. 최동숙(1991). 가정자원관리체계 구성요소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 163-178.
  33. 홍향숙(1999). 가계의 경제적 불안정성 유형에 따른 재무관리 행동과 재정만족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황덕순(1995). 도시가계의 경제적 불안과 대처행동.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Beutler, Ivan F., Mason, Jerald W.(1987). Family Cash Floe Budgeting. Home Economics Journal, 16(1), 3-12. https://doi.org/10.1177/1077727X8701600101
  36. Caplovitz, D.(1979). Making ends meet -how families cope with inflation and recession-. Sage Library of Social Research Vol. 86, Sage Publication, Inc., Beverly Hills London.
  37. Fitzsimmons, V. S. T. K., Hira, J. W., Bauer & Hafstrom, J. L.(1993). Financial management: Development of scales.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14(3), 257-274. https://doi.org/10.1007/BF01022180
  38. Lemper,J., Clark-Lampers, D., & Simons, R.L.(1989). Economic hardship, parenting, and distress in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0, 25-39. https://doi.org/10.2307/1131068
  39. Liker, J.K., Elder, G.(1983). Economic hardship and marital relations in the 1930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343-359. https://doi.org/10.2307/2095227
  40. Parrotta, J. L., & Johnson P. J.(1998). The impact of financial attitude and knowledge on financial management and satisfaction of recently married individuals.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9(2), 59-74.
  41. Titus, P. M., Fanslow, A. M., & Hira, T.K.(1989). Networth and financial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household money manager's competencie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7(4), 309-317. https://doi.org/10.1177/1077727X8901700404
  42. Voydanoff, P.(1990). Economic distress and family relations: A review of the eigh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Nov.), 1099-1115. https://doi.org/10.2307/353321
  43. Voydanoff, P. & Donnelly, B. W.(1989). Economic distress and mental health: The role of family coping resources and behaviors. Lifestyles: Family and Economic Issues, 10(2), 139-161. https://doi.org/10.1007/BF00988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