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동해'에 대한 지리인식과 문학적 형상

Geographical Cognition and the literary Geography Figuration of the 'Dong Hae' in Joseon Dynasty

  • 이승수 (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문학과) ;
  • 오일환 (경희대학교 학부대학 교양학부)
  • Lee, Seung-Su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anyang University) ;
  • Oh, Il-Whan (College of Liberal Arts, Kyunghee University)
  • 투고 : 2010.07.21
  • 심사 : 2010.09.17
  • 발행 : 2010.10.31

초록

동해(東海)는 애초 방위에 따라 붙인 명칭이었지만, 오랜 세월의 역사적 연고를 온축한 고유명사이기도 하다. 동해는 자연의 지리공간인 동시에, 숱한 역사적 사연과 문화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역사문화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 글은 동해의 역사 문화적 사연 중, 동해에 대한 선인들의 지리 인식을 검토하고, 나아가 문학작품에 그려진 여러 형상을 살펴본 것이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큰 차원에서 세계의 지리를 파악했고, 그 구도 속에서 국토의 지리와 지세를 인식했다. 이에 따르면 백두산은 천하의 조종(祖宗)이 되는 두 산 중 하나로 요동별관과 한반도와 일본의 지리를 통어한다. 고래로 역사지리가들은 백두산과 백두대간을 거론하며 동해를 짝 지워 언급하였다. 백두대간과 동해는 짝이 되면서 크기와 너비, 높이와 깊이, 그리고 위엄과 도량을 함께 갖춘 온전한 국토지리의 표상이 된다. 동해의 다채로운 문학적 형상을 네 범주로 나누어 다루었다. 우리문학에서 동해는 첫째,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의 의기를 거칠고 드세게 확충시켜 주었다. 둘째, 세상과 삶의 이치를 사유하고 통찰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셋째, 백두대간에서의 동해 조망은 국보 인식을 새롭게 해주었다. 넷째, 어촌민들의 고단한 삶이 펼쳐지고, 각종 풍속이나 교역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삶의 현장이었다.

While the Dong Hae was originally named for the point of the compass, it became a proper noun containing knowledge on the long history. The Dong Hae has played host to a number of historic events and cultural meanings and is a geographical space in the n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geographical cognition of ancestors about the Dong Hae among the historic and cultural meanings of Dong Hae and a variety of figurations described in literatur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period identified the global geography on a higher level an recognized the geography and topography of the land in the structure that they identified. In this aspect, Mt. Baekdu, one of two mountains which dominated the world, ruled the geography of Liaodong field, the Korean peninsula and Japnn. Historical geographers mentioned the Dong Hac whenever discussing Mt. Baekdu and Baekdudaegan (Great Range) from long ago. Baekdudaegan and the Dong Hae are the complete symbol of national territory with great size, depth, height, width, dignity and magnanimity. The cultural figurations of the Dong Hae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Korean literature, the Dong Hae strengthened the spirits of those who lived in the Korean peninsula. Second, the Dong Hae was the basis to see through and deliberate the reasons of life and the world. Third, the view of the Dong Hae from Baekdudaegan changed the cognition about the land. Finally, the Dong Hae was where the hard life of people in the fishing villages occurred and a variety of customs and trades were dynamically deploye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경희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