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the tide and drift correction models for precise gravity surveying

정밀 중력측정을 위한 조석 및 계기 보정 모델 분석

  • 이지선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0.10.20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Recently more gravity data is being obtained due to the increased demands from the fields of geodesy, geophysics, and military. In general, the observed gravity values are corrected for the effect of tide, instrument drift, and instrument height to generate the absolute gravity values at a point. Until yet, the models for tide and drift corrections and those procedures are not determined in Korea which led to the inconsistent data processing for different data se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odels for tide and drift are analyzed to select the appropriate models. Based on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Longman and Tamura tide models for celestial objects. Earth tide, however, should be considered in tide correction procedure. In drift correc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el considering only the common points and that considering all points appears significantly large up to 0.04mGal. In this case, the model with all points should be used as it the correct one according to the adjustment theory and it generates estimates with better precision.

측지, 지구물리, 국방 등의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중력자료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많은 중력자료가 획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획득한 중력자료로부터 절대중력값 및 중력이상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조석보정, 기계고보정, 계기보정 등의 단계를 거친다. 이때 여러 조석보정과 계기보정 모델 중 어떤 모델을 사용하여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결정되어 있지 않아 중력자료 처리에 있어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조석보정 및 계기보정 모델들이 중력값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모델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Longman과 Tamura가 제안한 천체에 의한 조석보정 모델은 약 0.0001mGal의 차이를 나타내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모델을 선정하여도 무방하였다. 그러나 지구조석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와 하지 않았을 때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함을 명시하여야 한다. 또한 계기 보정은 공통점에서의 측정중력값 차이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모든 측점을 이용하여 계기보정값을 결정하는 두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보정 후 잔차의 값이 최대 0.04mGal까지 발생하여, 이론적으로 정확한 모든 점을 이용하는 모텔로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10),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 완료 보고서, 서울시립대학교.
  2. 민경덕, 서정희, 권병두 (1986), 응용지구물리학, 우성문화사.
  3. Hwang. C., Wang. C., Lee. L. (2002), Adjustment of relative gravity measurements using weighted and datum-free constraints, Journal of Computers and Geosciences, Vol. 28, pp. 1005-1015. https://doi.org/10.1016/S0098-3004(02)00005-5
  4. Agmew. D. C. (2007). Earth Tides, Treatise on Geophysics: Geodesy, T. A. Herring, ed., Elsevier, New York, pp. 163-195.
  5. Longman. I. M. (1959), Formulas for Computing the Tidal Accelerations Due to the Moon and the Su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4, pp. 235-12355.
  6. Forsberg, R., Tscherning C. C., Kundsen P. (2003), An overview Manual of the GRAVSOFT, Kort & Matrikelstyrelse.
  7. Pariiskii. N. N., Pertsev. B. P., Kramer. M. V. (1982), The Effect of Variations in the Atmospheric Mass Distribution on the Gravity Acceleration, Repeated Gravity Observations, pp. 12-26.
  8. Tamura. Y. (1982), A computer program for calculating the tide-generating force, Intl. Latitude Ovservatory of Mizusawa, Vol. 16, pp. 1-20.
  9. Tamura. Y. (1987), A harmonic Development of the Tide-Generating Potential, Bulletin d'Information des Marees Terrestres, Vol. 99, pp. 6813-6855.
  10. Torge. W. (2001), Geodesy, Walter de Gruyter, Vol. 3, pp. 84-89 ; pp. 362-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