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 환경으로서 교정시설 수용동의 실내 환경 계획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Indoor Environment of Corrective Facility Ward Building as Healing Environment

  • 기하리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 남경숙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투고 : 2010.08.31
  • 심사 : 2010.10.08
  • 발행 : 2010.10.31

초록

The objective of correction is to let criminals receive education, be reformed and get vocational training during prison term by being separated from society and live as sound citizens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The facilities that execute such mission are referred to as corrective institution, and in Korea, some 47,000 persons are accommodated at 50 locations. Corrective facilities are facilities existing to separate and accommodate criminals safely, and return them to society after eliminating criminal nature from the convicts during the accommodation period. But corrective facilities in Korea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rrective facilities vividly focusing on security. Therefore, while present pursuit of corrective facilities is to seek for reformation of criminals rather than separation of them from society, existing prison buildings are not appropriate facilitated at the moment.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lanning of indoor environment of corrective facility ward building as healing environment. Specifically, this study is contributing to propose a model of criminals healing environment equivalent to hospital facility to raise the effect of healing the criminal nature of criminals and cut the period of restoring them by applying healing environment elements and return the criminals to the society as successfully reformed social member.

키워드

참고문헌

  1. Paul A. Bell, Thomas C, Greene, Jeffery D, Fisher, Andrew Baum, 환경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 Arnheim, Roudoif, Art and Visual Perception, LA.Berkeiy, 1971
  3. 이연숙, 실내환경심리행태론, 연세대학교출판사
  4. 양내원, 병원건축 그 아름다운 당연성, 플러스문화사, 2004
  5. 일본건축학회, 인간심리행태와 환경디자인, 보문당
  6. 김상희 외, 교정시설의 교화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1
  7. 김현미, 의료시설의 치유환경을 위한 감각 요소에 관한 연구, 건국대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8. 문영삼, 교정시설의 거주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9. 문창호, 치유환경 발전을 위한 건축계의 역할,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국제심포지엄, 2002 치료환경의 세계적 추이
  10. 민정희, 교도소 수형자의 수형생활실태, 심리적 요인 및 시설내적응태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1. 박돈서, 교정시설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권 95호, 1980
  12. 박민수, 환자 중심적 측면에서 본 국내 종합병원 외래진료부 대기공간의 치유환경 요소에 관한 선호도, 중앙대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박지영, Human-care 개념의 한.양방 협진병원 외래진료부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4. 신영철, 현대건축의 Lightness 개념을 적용한 소규모 의료시설계획안,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5. 이소영,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생태적 의료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6. 이순길, 교정시설건축에 관한 소고, 교정학회, 교정연구 제2호, 1992
  17. 이평, 놀이치료 공간분석을 통한 치료교육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8. 이훈규 이정규, 수용자 교정교육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6
  19. 유진아, 도심형 병원에 있어 치유환경조성을 위한 건축공간구성의 현황 및 원리에 관한 연구, 한양대 건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0. 정현주, 감성기반 치유환경 관점에서 본 병원디자인 사례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1. 최영미 외 2명, 치매노인시설의 치유환경 구축을 위한 건축 계획적 연구-감각 자극과 디자인의 상관성,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제2호, 2004. 10
  22. CTS 신년 특집 HD 다큐 스페셜, 교도소의 민영화 바람, 2008
  23. SBS 스페셜 '공간을 디자인하라'
  24. KBS 다큐멘터리 3일, 청주여자교도소 편
  25. 교정본부, www.correcions.go.kr
  26. 대검찰청, 2008년 범죄분석 자료
  27. 법무부, www.moj.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