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prouts during Storage

콩나물의 저장 중 품질 변화

  • Lee, Kyong-Ae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
  • Kim, Yong-Ho (Dept. of Medicinal Biotechn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
  • Kim, Hyang-Sook (Dep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경애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용호 (순천향대학교 의료생명공학과) ;
  • 김향숙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0.07.26
  • Accepted : 2010.10.18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Soy sprouts with Pungsannamulkong stored in covered polypropylene container with water(PCSS) or polypropylene film bag without water(PBSS) at $4^{\circ}C$ for 7 days. Changes in weight, instrumental textural hardness, color values and sensory attributes of soy sprouts were evaluated after 2, 4 and 7 day storage. Storage caused slight weight losses in PBSS, but not in PCSS. In the courses of storage the hardness of the heads decreased, while the stems maintained their hardness. The effect of storage periods on surface color changes were also determined. The stems of soy sprouts in PCSS had higher L values when stored for over 2 days. The b values of the stems in both PCSS and PBSS increased after over 2 day storage. The higher b values in the stems were found when kept in PBSS for 2 or 4 days, indicating more yellowish color. On the other hand, the heads and stems of soy sprouts had light green color. The soy sprouts in PCSS became greener with storage, but there was only small increase in greenness. Sensory panels perceived that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soy sprouts decreased with storage.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soy sprouts when kept in PCSS for 7 days were not as good as that of soy sprouts in PCSS for 4 days, although soy sprouts in PCSS had a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ose in PBSS when stored over 4 days(p<0.05). Therefore, PCSS could be possible to keep soy sprouts with good overall acceptability when stored 4 days at $4^{\circ}C$.

풍산나물콩으로 5일간 재배하여 수확한 콩나물을 폴리프로필렌 용기에 물과 함께 담아 $4^{\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는 동안 중량, 견고성, 색도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저장하는 동안 물에 담가 저장한 콩나물의 중량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대조군 콩나물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콩나물 머리의 견고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줄기의 견고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콩나물의 색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2일 이상 저장했을 때 콩나물 줄기의 L값은 대조군 콩나물이 물에 담가 저장한 콩나물에 비해 낮았다. 줄기의 b값은 2일 이상 저장 시 수확 직 후에 비해 높았으며 2일 및 4일간 저장했을 때 물에 담가 저장한 콩나물은 대조군에 비해 b값이 낮았다. 물에 담가 저장한 콩나물의 머리와 줄기는 약한 녹색도를 띠었으며 저장하는 동안 녹색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콩나물의 전체적인 선호도는 저장하는 동안 감소되었다. 4일 이상 저장 시 물에 담가 저장한 콩나물이 대조군 콩나물 보다 전체적인 선호도가 높았으나 7일 저장 시에는 대조군과 물에 담가 저장한 콩나물 모두 매우 낮은 전체적인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콩나물을 물에 담가 저장할 때는 4일 정도 저장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신한, 이영일, 김정렬. (1981). 나물콩용 품종육성을 위한 특성 형질의 비교. 한국육종학회지, 13(3), 202-206.
  2. 김미리, 김혜영, 이근종, 황용수, 구자형. (1998). 콩나물품종에 따른 콩나물 및 콩나물 무침의 품질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4(3), 266-272.
  3. 김순동, 장봉해, 김혜숙, 하규현, 강경순, 김덕희. (1982). 콩나물의 유통과정 중 chlorophyll, amino 산 및 vitamin C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1(3), 57-62.
  4. 김은정, 이경임, 박건영. (2002). 게르마늄 처리가 콩나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4), 615-620.
  5. 김일두, 김순동. (2001). 오존수로 재배한 콩나물의 저장 중 품질변화.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8(4), 379-384.
  6. 박우포, 조성환, 이동선. (1998a). Grapefruit seed extract와 ascorbic acid의 혼합 처리가 콩나물의 변패 미생물과 저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6), 1086-1093.
  7. 박우포, 조성환, 이동선. (1998b). 최소가공채소류에 적합한 갈변방지제의 선발. 한국식품과학회지, 27(6), 1086-1093.
  8. 배경근, 남승우, 김경남, 황영현. (2004). 콩나물 재배과정 중 기체 조성과 수확 후 저장온도에 따른 선도 변화. 한국작물학회지, 49(3), 172-178.
  9. 손희경, 제은주, 김용호, 김희선, 변광의, 이경애. (2008). 시판 콩나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4(6), 891-898.
  10. 조경심, 김용호, 이영상. (2006). 필름 포장된 콩나물의 유통 중 축적되는 이취의 종류 및 발생 특성. 한국작물학회지, 51(3), 220-226.
  11. 지재훈, 양주성, 김남곤, 허종화. (2003). 콩나물의 생장과 저장성에 미치는 키토산 처리 효과.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8(4), 214-219.
  12. 최희돈, 김성수, 김경락, 이진열, 박현목. (2000). 침지처리가 콩나물의 생육 및 부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32(3), 584-589.
  13. Abdullah, A., Baldwin, R. E., Fields, M., & Karr, A. L. (1984). Sensory attribute and safety aspects of germinated small-seeded soybeans and mungbeans. Journal of Food Protection, 47(6), 434-437.
  14. Anderson, J. W., Johnstone, B. M., & Cook-Newell, M. E. (1995).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oy protein intake on serum lipid.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3(5), 276-282. https://doi.org/10.1056/NEJM199508033330502
  15.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Washingt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c.
  16. Messina, M. (2001). Noteworthy evidence mounts on soy and human health.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1), 1-3.
  17. Ohama, T., & Hase, E. (1975). Chlorophyll synthesis. Plant and Cell Physiology, 16, 297-300.
  18. Orhan, I., Ozcelik, B., Kartal, M., Aslan, Sener, B., & Ozguven, M. (2007). Quantification of daizein, genistein and fatty acids in soybeans and soy sprouts and some bioactivity studies. Acta Biologica Craconviensia Sertes Botanica, 49(2), 61-68.

Cited by

  1.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Soybean Sprout according to Preparation and Cooking Process vol.43, pp.3, 2014, https://doi.org/10.3746/jkfn.2014.43.3.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