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분별법에 의한 공업계 고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이미지 연구

Study on images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oward 'engineering'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김기수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술교육과) ;
  • 이창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계.금속공학교육과)
  • 투고 : 2010.07.30
  • 심사 : 2010.09.15
  • 발행 : 2010.09.30

초록

이 연구는 공업계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형성되어 있는 '공학'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고, '공학' 이미지의 요인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공업계고등학교 3학년 학생 695명이었다. 측정 도구는 Osgood(1957)이 개발한 의미분별법 도구에서 이용되었던 형용사 척도 문항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에서는 총 30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고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공학'에 대한 전체적인 이미지 평균 점수는 4.27점으로 기준(4점)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였다. 둘째,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공학'은 중요하고 가치가 있지만, 어렵고 복잡하고 위험하다는 이미지가 공업계고 학생들에게 각인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요인분석 결파 6개씩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 1은 실용성, 요인 2는 감성, 요인 3은 섬미성, 요인 4는 용이성, 요인 5는 책임감, 요인 6은 적극성이라고 명명하였다. 넷째, 지역별 '공학'에 대한 이미지의 평균 비교 결과, 각 요인별로 지역에 따라 '공학'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how students of technical high schools view 'engineering' as well as to identify the main elements that contribute to the perception on 'engineering.' The research targets are 695 senior students of technical high schools nationwide.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measuring tool for the experiment by referencing the adjective value criteria utilized in the semantic difference method developed by Osgood (1957). There were a grand total of 30 criteria following the preliminary stud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value of the overall percep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on 'engineering' is 4.27 points. This value just exceeds the standard (4 points). Secondly, when examining the general tendency it can be noticed that there is a sense of stigma that although 'engineering' is significant and valuable it is a field that is overly difficult, complex and even dangerous. Thirdly, 6 main elements that influence the perception on 'engineering' were extracted as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The first element is practicality; the second element is emotions; the third element is aesthetics; the fourth is simplicity; the fifth is responsibility; and finally the sixth element is assertiveness. Fourthly, when comparing the average values of the perception on 'engineering' by region, it was seen that there existed a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towards 'engineering' based on differing region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충남대학교

참고문헌

  1. 김동기(1982). 현대마아케팅원론. 박영사.
  2. 김언주, 권순명, 최애숙(1997). 충남대학교 이미지에 관한 의미변별적 접근. 교육발전논총, 18(1), 163-191.
  3. 김영희, 최면선(2001). 의미분별법에 의한 아동 및 청소년의 부모 이미지 연구. 한국놀이치료연구학회지, 4(2), 3-15.
  4. 김용익(2002). 중학교 학생들에게 형성되어 있는 실과 교과서 이미지 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4(4), 97-166.
  5. 김종서(1980). 교육연구의 방법. 배영사.
  6. 미술대학교재연구회(1987). 이미지 구성. 미술대학교재연구회.
  7. 박기순(2000). 기업, 문화, 커뮤니케이션 - 21세기 새로운 PR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북스.
  8. 박도순(2001). 교육연구방법론. 교육문화사.
  9. 박화술(1980). 창조공학원론. 서울: 학문사.
  10. 이용환, 최유현, 한지영, 이한규, 방재현 역(2005). 의미분별법에 의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학생들의 태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24(3), 1-22.
  11. 이창훈(2007).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 입문자의 창의력과 공학 설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춘식(1996). 의미변별법에 의한 중학교 남.여학생의 기술 및 기술 교과서에 대한 태도.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1(2), 41-55.
  13. 홍병숙(1998) 의미분별척도법에 의한 양장과 한복의 이미지 비교 평가. 한국의상직물학회지, 12(3), 373-382.
  14. Osgood, C. E., Suci, G. J. & Tannebaum, P. H.(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 : Univ. of Illinois Press.
  15. Osgood, C. E. & Suci, G. J.(1955). Factor analysis of meaning. In J.G.Snider & C.E. Osgood(Ed.),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Chicago : Aldine Publishing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