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건조에 따른 마늘 중 azoxystrobin과 flutolanil의 가공계수 및 감소계수

Processing and Reduction Factors of Azoxystrobin and Flutolanil in Garlic by Freeze-Drying

  • 노현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 강경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 박효경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 이광헌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 이재윤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 이은영 ((주)동부한농 동부기술원 농생명연구소) ;
  • 박영순 (농업기술실용화재단) ;
  • 경기성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환경생명화학과)
  • Noh, Hyun-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ang, Kyung-W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Hyo-K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Kwang-H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Eun-Young (AgroLife Research Institute, Dongbu Advanced Research Institute, Dongbu Hanong Co., Ltd.) ;
  • Park, Young-Soon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
  • Kyung, Kee-S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Chemistry,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8.26
  • 심사 : 2010.09.06
  • 발행 : 2010.09.30

초록

건조에 의한 마늘 중 농약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마늘에 등록되어 사용 중인 azoxystrobin과 flutolanil의 표준희석 용액에 각각 1분과 5분간 침지한 후 동결 건조하였으며, 건조 전후 마늘 중 잔류농약은 GLC-ECD/NP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조전후 마늘 중 시험농약의 회수율은 81.96-98.18%이었다. 건조 전 마늘 중 azoxystrobin과 flutolanil의 잔류량은 1분 침지에서 각각 0.34와 1.18 mg/kg, 5분 침지에서 0.44와 2.15 mg/kg이었으며, 건조 마늘 중 시험농약의 잔류량은 1분 침지에서 0.80과 4.51 mg/kg, 5분 침지에서 1.03과 5.28 mg/kg으로 건조 후 잔류농약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Azoxystrobin의 가공계수는 1분과 5분 침지에서 각각 2.35와 2.34이었고, flutolanil의 가공계수는 1분과 5분 침지에서 각각 1.19와 1.17이었다. 건조전후 마늘 중 시험농약의 감소계수는 0.94-0.97 범위로서 동결건조 과정 중 시험농약은 거의 소실되지 않았다.

In order to elucidat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s in garlic by drying, azoxystrobin and flutolanil used for garlic were treated to the garlic by dipping for 1 and 5 min into their standard diluents and then the garlic was dried with a freeze-drier. The test pesticides were analyzed with a GLC-ECD/NPD. Recoveries of the pesticides ranged from 81.96 to 98.18%. Amount of azoxystrobin and flutolanil in fresh garlic were 0.34 and 1.18 mg/kg in case of dipping for 1 min. and 0.44 and 2.15 mg/kg in case of dipping for 5 min., respectively. Also, amount of azoxystrobin and flutolanil in dried garlic were 0.80 and 4.51 mg/kg in case of dipping for 1 min. and 1.03, 5.28 mg/kg in case of dipping for 5 minute, respectively, representing that concentration of the test pesticides in garlic were increased by drying. In case of dipping for 1 and 5 min., processing factors of azoxystrobin were 2.35 and 3.34 and those of flutolanil were 1.19 and 1.17, respectively. Reduction factors of the pesticides in garlic were range from 0.94 to 0.97, indicating that few amounts of the test pesticides in garlic were dissipated by freeze-drying.

키워드

참고문헌

  1. EPA guidelines OPPT 860.1520.
  2. EPA (2008) 10 CFR, Parts 150 to 189, 522-608, USA.
  3. Sharma J., S. Satya, V. Kumar. and D. K. Tewary (2005) Dissipation of pesticide during bread-making, Chemical health & safety, pp. 17-22.
  4. 경기성 (2006) 건조농산물 감소계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보고서.
  5. 경기성 (2009) 가공식품 중 농약잔류기준 설정 연구-인삼 및 건조 농산물에 대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보고서.
  6. 고하영 (1983) 마늘 장기저장방법,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용기, 이상범, 이상엽, 심홍식, 최인후 (2003) 마늘 저장법 방제를 위한 경종적, 화학적 접근, 농약과학회지 7(2):139-148.
  8. 김장억 (2007) 건조 농산물 감소계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보고서.
  9. 김정한 (2004) 농산물별 농약감소지수 산출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보고서.
  10. 김종걸, 김성수,박홍열, 지광용, 이경희, 함현주, 임무혁, 허장현 (2009) 인삼의 재배 및 가공단계 별 Azoxystrobin 잔류성, 농약과학회지 13(4):232-240.
  11. 농림수산식품부 (2008)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12. 농촌진흥청고시 (2008) 농약의 등록시험 기준과 방법 제 2008-4호, pp. 174-176.
  13. 박건상, 서정혁, 최정희, 김선구, 이효구, 심재한 (2009) 포장 및 침지실험 당근의 건조에 의한 농약 가공계수 산출 연구, 농약과학회지 13(4):209-215.
  14. 박소연, 강혜림, 고광용, 길근환, 임무혁, 이규승 (2009) 건조 대파의 잔류농약 가공 및 감소계수 연구, 농약과학회지 13(4):249-255.
  15. 박소영, 박건상, 임무혁, 최훈, 장문익, 권착혁, 김선구, 이효구, 홍무기, 심재한, 김정한 (2009) 밀의 제분에 따른 밀가루 중 농약가공계수 산출 연구, 농약과학회지 13(2):70-78.
  16.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식품공전.
  17. 신동선, 이영춘 (2002) 식품성분과 가공조건이 마늘 alliin-alliìnase 반응물질의 항미생물성에 미치는 영향, Food Engineering Progress 6(1):59-66.
  18. 유오종, 이용훈, 진용덕, 김진배, 황세구, 한상현, 김장억 (2007) 마늘 저장 중 마름썩음병과 푸른곰팡이병 억제를 위한 농약의 살균활성, 농약과학회지 11(4):331-338.
  19. 유오종, 진용덕, 황세구, 이용훈, 임양빈, 김진배, 권오경, 경기성, 김장억, (2009) 마늘 저장중 부패병 방제를 위하여 처리한 농약의 경시적 농약 잔류량 평가, 농약과학회지, 13(3):148-158.
  20. 이규승 (2007) 건조 농산물 감소계수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보고서.
  21. 이미경, 이서래 (1997) 국내 식품 중 유기인계 잔류농약의 위해성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29(2):240-248.
  22. 이승우 (1981) 마늘의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논문집(자연과학) 31:451-458.
  23. 임무혁, 권광일, 박건상, 최동미, 장문익, 정지윤, 이경진, 윤원갑, 홍무기, 우건조 (2006) 인삼 가공 중 잔류농약의 감소계수연구(I), 농약과학회지 10(1):22-27.
  24. 임무혁, 권광일, 박건상, 이경진, 장문익, 윤원갑, 최우종, 유광수 (2007) 홍삼 가공 중 azoxystrobin, fenhexamid 및 cyprodinil 농약의 감소율, 한국식품과학회지 39(5):575-579.
  25. 이승우 (1981) 마늘의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논문집(자연과학) 31:451-458.
  26. 이은영, 노현호, 박영순, 강경원, 이광헌, 박효경, 권찬혁, 임무혁, 경기성 (2009) 구기자와 대추 중 잔류농약의 건조에 따른 가공계수 및 감소계수, 농약과학회지 13(3):159-164.
  27. 장은경 (2006) 인삼 가공중 농약 감소율 산출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보고서.
  28. 조원대, 김완규, 김한명 (1995) 마늘저장병해에 관여하는 진균, 농시논문집 37(2):325-329.
  29. 한국작물보호협회 (2009) 농약사용지침서, p. 262, pp. 323-326.
  30. 한국탁, 이규승, 이은경, 이용재, 고광용, 원동준, 이정원, 권순덕 (2003)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 채소류의 농약 잔류 실태 및 식이섭취량 추정, 한국환경농학회지 22(3):210-214.
  31. 허장현 (2009) 인삼 재배, 가공 중 농약 잔류성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용역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