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Organic Compounds and Heavy Metals in Sediments from the Urban Streams in the Busan City

부산시 도심하천 퇴적물의 유기물 및 중금속 오염도 평가

  • 이준기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공학과 대학원) ;
  • 김석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환경연구실) ;
  • 송재홍 (홍보산업 주식회사) ;
  • 이태윤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9.08.19
  • Accepted : 2009.09.25
  • Published : 2010.01.0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informations ab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basic data of sediments for the urban streams in the Busan city. Total 14 urban streams were selected and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Then, It was investigated the sediment qualities though the measurement of pH, proximate analysis, elemental analysis, COD, organic carbon content, volatile solid content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 Results show that COD, organic carbon content, volatile solid content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ediment are determined in the range of $1.20{\sim}75.07mg\;L^{-1}$, 0.19~11.54%, 0.23~34.21% and $0.4{\sim}732.6mg\;kg^{-1}$, respectively. Finally, Analysis data of sediments were compared with USEPA sediment quality standards and ontario sediment quality guidelines. As a result, when compared with USEPA sediment quality standards, total 9 samples were evaluated as heavily polluted and total 3 samples were evaluated as moderately polluted. But, when compared with ontario sediment quality guidelines, total 3 samples were evaluated as Severe effect level and total 10 samples were evaluated as lowest effect level.

본 연구는 부산시에 위치한 하천들에 대한 기본적인 퇴적물 데이터와 현재의 오염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부산시 하천 중 14곳을 선정하고 대상하천의 퇴적물을 채집하였다. 그리고 pH, 공업분석, 원소분석, COD, 유기탄소함량, 강열감량, 중금속 등을 분석하여 채집한 시료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퇴적물의 COD, 유기탄소함량, 강열감량, 중금속 함량이 각각 $1.20{\sim}75.07mg\;L^{-1}$, 0.19~11.54%, 0.23~34.21%, $0.4{\sim}732.6mg\;kg^{-1}$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퇴적물의 분석 데이터를 각각 USEPA 퇴적물 환경기준과 캐나다 온타리오 퇴적물 환경기준과 비교 하였으며, 먼저 USEPA 퇴적물 환경기준과 비교했을 때, 총 9개 시료가 심한오염상태인 것으로 분류되었고 3개 시료가 중간오염상태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캐나다 온타리오 퇴적물 환경기준과 비교한 경우, 총 3개 시료가 SEL(Severe Effect Level), 총 10개 시료가 LEL(Lowest Effect Level)인 것으로 평가 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기상청

References

  1. 김도희 (2007), 수 저층의 저질조사 (I); 저질 조사의 중요성과 분석에 관하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 13, No. 1, pp. 93-102.
  2. 김호섭, 황순진, 고재만 (2003), 도심의 얕은 인공호인 일감호의 수질변화특성과 퇴적환경의 평가, Korean J. Limnol, Vol. 36, No. 2, pp. 161-171.
  3. 문선정 (2007), 호수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pp. 14-25.
  4. 박선구, 양영모 (2001), 호소내 퇴적물의 근접도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분석(І),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ol. 14, No. 3, pp. 238-243.
  5. 부산발전연구원 (2006), 부산지역 도시하천의 실태분석과 환경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pp. 10-25.
  6. 유은희 (1998),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용탈특성 연구,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보, Vol. 8, pp. 208-226.
  7. 이창희, 유혜진 (2000), 수저퇴적물 환경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평가연구원, pp. 30-31.
  8. CCME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1995), Protocol for the Derivation of Canadian Sediment Quality Guidelines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Report CCME EPA-98E, pp. 1-5.
  9. Dawson, R. M. (1998), The Toxicology of Microcystins, Toxicon, Vol. 36, No. 7, pp. 953-962. https://doi.org/10.1016/S0041-0101(97)00102-5
  10. Hakanson, L. and Jansson, M. (1983), Principles of Lake Sedimentology, Blackburn Press, U.K., pp. 50-120.
  11. Persson, P. E. (1982), Muddy Odour : a Problem Associated with Extreame Eutrophication, Hydrobioogial, Vol. 86, No. 1-2, pp. 161-164. https://doi.org/10.1007/BF00005805
  12. Pouria, S., de Andrade, A., Cavalcanti, R. L., Barreto, V. T. S.,Ward, C. J., Preiser, W., Poon, P. K., Neild, G. H. and Cood, G. A. (1998), Fatal Microcystin Intoxication in Haemodialysis Unit in Caruaru, Brazil, The lancet, Vol. 352, No. 9121, pp. 21-26. https://doi.org/10.1016/S0140-6736(97)12285-1
  13. Smith, B. A. D. and Gilbert, J. J. (1995), Relative Susceptibilites of Rotifers and Cladocerans to Microcystis Aeruginosa, Arch Hydrobiol, Vol. 132, No. 3, pp. 309-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