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olidation Behavior of Poor Mixed Soil-Cement

빈배합 시멘트 혼합점토의 압밀 특성

  • 이종민 (충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권영철 (한국사이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 이흥길 (충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봉직 (충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9.11.30
  • Accepted : 2010.03.03
  • Published : 2010.04.01

Abstract

The amount of dredging clay will be greatly increased by the eco-rive project and port development in Korea. Geotechnical engineers have thrown their efforts into the new ways for effective re-uses of the dredging clay such as the material for reclamation, and so on. However, very high initial water content and low strength causes unexpected difficulties in the aspect of trafficablility or time for consolidation. Therefore, the injection of cement stabilizer is used as one of ways to improve reclaimed ground. However, it also makes an argument by heavy metal from cement stabilizer. In this paper constant rate of strain consolidation test and normal consolidation test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consolidation about soil-cement include lean mixed cement to reduce the environmental loads by the ce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of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about soil-cement include lean mixed cement influenced by mixing ratio. Especially it was observed that mixing ratio of 4%~6% leads not only the reduc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 but time for consolidation.

4대강 사업이나 항만의 지속적인 건설 및 관리 등으로 인해 준설점토의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준설점토를 매립재료 등으로 유효하게 재활용하기 위해 지반공학 관련 기술자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준설점토가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초기 함수비를 갖고 있으며 동시에 강도 역시 매우 낮은 점을 생각하면 준설된 점토의 처리를 위한 장비의 주행성 확보나 혹은 압밀을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최근까지 경제성과 효과면에서 탁월한 시멘트를 이용한 준설점토의 처리 등에 많은 연구 성과가 발표되고 혹은 현장에서 효과적인 처리공법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시멘트 자체가 지반 내에서 6가크롬이나 수은 등의 중금속을 유출하는 경우 환경 부하의 증가 뿐만 아니라 지하수를 통한 오염 확산 등에서 우려되는 점이 없지 않다. 따라서 가급적 시멘트 혼합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저자들의 판단이며 이를 위해 빈배합 시멘트 혼합점토의 거동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압밀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압밀 침하량의 억제와 압밀속도의 증가가 동시에 나타나는 시멘트 고화제 혼합비 시작점은 4%~6% 정도인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백영식 (2007), 강의식으로 풀어쓴 토질역학, 구미서관, p. 410.
  2. 천병식, 박재우 (2005), 벤토나이트 황토 모래를 혼합한 투수 벽체의 지반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 6, No. 4, pp. 5-13.
  3. 천병식, 이재영, 서덕동 (2003), 시멘트계 주입재 종류별 주입 특성 및 환경적 영향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 19, No. 2, pp. 159-170.
  4. 한국수자원공사 (2008), EcoRiver21, p. 33, 282, 306, 327.
  5. ASTM (1989), Standard Test Method for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Properties of Soil Using Controlled-Strain Loading, ASTM D4186-89, pp. 1-5.
  6. 건설교통부 (1996), 경량기포콘크리트 재료개발 연구, 연차보고서, (주)동아건설 기술연구소, 연세대학교 재해연구소, pp. 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