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oice Behavior of Transportation Mode in Jeju

제주지역의 교통수단선택 행태에 관한 연구

  • Kim, Kyung-Bum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 Hwang, Kyung-Soo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 Researcher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Research, Jeju National University)
  • 김경범 (제주대학교 행정학과) ;
  • 황경수 (제주대학교 행정학과&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 Received : 2010.08.13
  • Accepted : 2010.12.17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n order to solve the traffic problem in jeju, we must reduce demand for car travel. In addition, demand for passenger travel by public transport policy is needed for convers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transport services are desperately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ip travel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ortation choice, and personal effectiveness as a factor in travel costs and travel time on the impact of transportation choices will investigate. Restructure its public transportation routes, when to switch to buses to car traffic on the data as a basis for the factors that may be.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ublic transport services is expecte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May 2010 survey was conducted. And multinominal logit model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eople who own homes and families with more than 5 people are likely to use cars. If a prolonged travel time is likely to use buses. However, increasing the cost of travel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car is available.

제주지역의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승용차 통행자의 수요를 줄임과 동시에 이들을 대중교통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각종 정책과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통행자들의 개인특성 요인과 교통수단 선택과의 관계, 개인의 효용 요인인 통행비용과 통행시간이 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승용차 통행자를 버스로 전환시키기 위한 대중교통 노선 개편 시 고려해야 할 요인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의 수행을 위해 2010년 5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항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택을 소유한 통행자와 가구의 가족수가 5명 이상인 통행자는 승용차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고, 통행시간이 길어지면 버스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에 통행비용이 증가하면 승용차를 이용할 가능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원제무․최재성, "교통공학", 박영사. pp13-23. 1998.
  2. 배영석․김기혁․김경식․김언동, "개별행태 접근방법에 의한 교통수단선택 행태분석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3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49-57, 1995.
  3. 정헌영․김정주, "통근․통학자의 지하철 연계교통수단선택행태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72-79, 2000.
  4. 김명수․남궁문․이병주, "교통이용자의 행태분석과 교통수단 선택행동모형", 한밭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논문집, 제5호, pp 106-108, 2001.
  5. 김성희․이창무․안건혁, "대중교통으로 보행거리가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Vol36. No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300-306. 2001.
  6. 조남건, 윤대식, "고령자의 통행수단 선택시 영향을주는 요인 연구". 국토연구 Vol 33. 국토연구원. pp130-140, 2002.
  7. 김형철, "대도시권 교통수단선택 행태분석과 정산모형의 비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교통공학과. pp22-48, 2005.
  8. 김익기․한근수․방형준. "신교통수단 건설사업에 있어 환승을 반영한 교통수요 예측기법", 대한교통학회지 제24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 201-205, 5월, 2006.
  9. 이순주 "RP자료를 이용한 수단분담모형 구축 -수원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3-41. 2007.
  10. 백승훈, "조건부 로짓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통근 수단 선택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pp39-49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1. 윤대식․황정훈․문창근, "도농통합도시 시민의 교통수단선택 특성과 통행패턴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57권, 국토연구원, pp 119-129, 2008.
  12. Cervero, R & Kockelman, K,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D, 2. 199-219. 1997 https://doi.org/10.1016/S1361-9209(97)00009-6
  13. Quarmby, "Effect of Alternative Fare System on Operational Efficency : British Experience", Transportation and Road Research Laboratory SR 37, 1974.
  14. Koppelman, F. S, "Predicting Transit Ridership in Response to Transit Service Change".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09. no. 4. 1983
  15. Ortuzar, J, de D and Willumsen, L, G, "Modeling Transport, 2nd edition", England : John Wiley & Sons. 1994.
  16. 이학식․임지훈, "SPSS 12.0 매뉴얼(통계분석방법 및 해설)". 범문사. pp327. 2008

Cited by

  1. A Mode Choice Model with Market Segmentation of Beneficiary Group of New Transit Facility vol.33, pp.2,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2.667
  2. Analyzing Factors to Affect Trip Mode Chaining Behavior Using Travel Diary Survey Data in Seoul vol.17, pp.1, 2018, https://doi.org/10.12815/kits.2018.17.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