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치과위생사의 인지도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f Long-term Senior Care Insurance System

  • 김지현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사회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연구소) ;
  • 황지민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사회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연구소) ;
  • 박용덕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사회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연구소)
  • Kim, Ji-Hyun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Social Dentistry & Institute of Oral Bi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Hwang, Ji-Min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Social Dentistry & Institute of Oral Bi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Park, Yong-Duk (Department of Preventive and Social Dentistry & Institute of Oral Biology, School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0.01.22
  • 심사 : 2010.02.21
  • 발행 : 2010.02.28

초록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방문간호 중에서 치과위생사의 업무인 방문구강위생이 포함되어있으므로 치과위생사의 인지도를 파악하고자 2009년 1월부터 4월까지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치과병 의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치과위생사의 방문구강위생업무 중 중요한 업무순위에 대해 1순위가 '관리적, 예방적 처치 영역', 2순위는 '구강보건교육 영역'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영역 중에서 중요한 교육분야는 '잇솔질'이 79.9%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예방적 처치 영역 중에서도 '잇솔질 실행'이 6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치과위생사가 방문구강위생업무를 하기위해 치과의사의 지시서가 필요한 것에 대한 인지여부에서 38.2%가 '예', 61.8%가 '아니오'라고 응답하였다. '예'라고 응답한 치과위생사 중 근무경력이 '1년 이상-4년 미만'인 치과위생사가 치과의사의 지시서 필요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비율이 1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3. 치과위생사가 노인장기요양소를 개설할 수 있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지에 대해 93.4%가 '아니오', 6.6%가 '예'라고 응답하였다. 학력에 따른 노인장기요양소 개설의향정도는 치과위생사의 학력이 '학사'인 경우가 3.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인지정도에 대한 변수 중 '방문구강위생업무 시 치과의사의 지시서가 필요한 것에 대한 인지정도'와 '노인장기요양소 개설의향정도'와의 관계에서 음(-)의 상관관계(r=-0.300)를 보여주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수급자에게 구강위생업무를 제공해야할 치과위생사의 인지도가 낮으므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하여 치과위생사들에게 적극적인 홍보와 정기적인 교육을 통하여 인지도를 높여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ver dental hygienists who work for metropolitan dental hospitals or clinics in Seoul city, Incheon city and Gyeonggi province from January to April 2009 and profile their awareness of Long-term Senior Care Insurance System (hereinafter called 'LSCI (System)', so that it may provide material reference data to contribute to expanding and establishing oral health medical services in the framework of LSCI System.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t was found that the highest priority of dental hygienists' visiting oral hygienic services under LSCI System was focused on 'caring and preventive treatment', and their secondary priority was focused upon 'oral health education.' 2. In response to a question item about whether dental hygienists need dentist's prescription in written before performing their visiting oral hygienic services, it was found that 38.2% dental hygienists answered 'Yes (necessary)' and 61.8% answered 'No (unnecessary).' 3. In response to a question item about whether dental hygienists may open up long-term senior care center, it was found that absolute majority of dental hygienists (93.4%) answered 'No' and only 6.6% dental hygienists answered 'Yes.' The standardized professional education are thought to be needed to be developed aiming at the success in oral-hygiene service within a LSCI, by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in dental hygienist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현옥, 김진: 노인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8(2): 57-63, 2008.
  2. Mui. AC, Burnette. D: Long-term care service use by frail elders : Is ethnicity a factor?. The Gerontologist 34(2): 190- 198, 1994. https://doi.org/10.1093/geront/34.2.190
  3. 황지민, 박용덕: 현행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인식 및 요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3): 211-226, 2009.
  4. 박수천: 일본 개호보험을 통해 본 지속가능한 한국형 노인요양 제도의 전제. 노인복지연구 27: 49-83, 2005.
  5. 신리혜 외: 한국노인요양시설 구강 위생현황과 일본 노인요양보험법 비교를 통한 치과의사의 역할과 전망. 대한치과보철학회지 46(1): 83-91, 2008.
  6.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장제도 제정안 설명자료. 2006.
  7.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시행 2009.5.21][법률 제9693 호. 2009.5.21, 일부개정]
  8. 박미숙: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른 인식과 과제에 관한 연구 (울산지역사회복지 관련 인력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이원필. 장기요양보장제도에 대한 인식조사(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0. 김지현, 박용덕: 노인틀니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치과의료공급자의 인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4): 644-652, 2009.
  11. 권민영: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에 대한 방문간호사의 인식.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2. 송신섭: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극동사회복지저널 4: 85-104, 2008.
  13. 김지영, 김진범: 노인의 생활양식과 구강건강관리행동이 구강내 mutans streptococci, lactobacillus 및 candida albicans 집락수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1): 115-125, 2007.
  14. 주온주, 김동기: 한국 노인 본인이 인지한 양대 구강병 관련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1): 71-81, 2009.
  15. 안권숙, 지민경, 민희홍: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치과종사자의 인식도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9(1): 169-180, 2009.
  16. 박정란 외: 노인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전문치과위생사 양성과정. 대한치과위생사협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