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ultural Space for Socia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성발달을 위한 문화 공간 연구

  • 강정희 (한국교원대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 이재림 (한국교원대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Elementary school is the beginning step of 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the recent social phenomenon shows that the communication and intimate fellowship between the children are decreasing. This is due to the increase in Internet uses their parents' excessive protection caused by a low birthrate. School performs an important role in educating and socializing students. Students get intellectual and emotional satisfactions while they spend most of a day there. This research is aimed to understand cultural school environment for students, to help socializing and to improve the necessary cultural environment. Also, this research has guid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xpanded socializtion, including improving school cultural environment for students and has presente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necessary cultural environment. The next was obtained from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박영순, 의사소통이 초등학생의 대인간 갈등해결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이명희, 사회성발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간 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원대 교육대학원, 2005
  3. 박종혁, 학교시설에 대한 초.중학교 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전주교대 교육대학원, 2006
  4. 고천호, 고등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2003
  5. 정왕영, 제7차교육과정도입이후 초등학교 화장실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석론, 2002
  6. 이화룡, 학교건축의 복도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환경 연구원 학술지, 2003
  7. 김창걸,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의 이론과 실제의 탐구, 형설출판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