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수초재배섬 식생기반재 종류에 따른 물질 흡착량 및 생물상, 식재식물 성장 비교

Comparison of the Growth of Hydrophytes, Aquatic Biota and Absorption of Nutrient depending on the Planting Mat Type of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 최명재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 박혜경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 변명섭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 전남희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 윤석환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Choi, Myung-Jae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Park, Hae-Kyung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Byeon, Myeong-Seop (Water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Jeon, Nam-Hui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Yun, Seok-Hwan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투고 : 2009.08.31
  • 심사 : 2009.10.28
  • 발행 : 2010.01.30

초록

We investigated temporal changes of growth of hydrophytes, aquatic biota and absorption of nutrient depending on planting mat type (synthetic fiber, coconut fiber) of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AVI) through pilot test using AVI miniatures in Kyungan Stream area of Lake Paldang.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DO, pH, conductivity, turbidity, temperature),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bundance among AVI miniatures and control statio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showed most individual numbers in the miniature which was made by synthetic fiber and planted with Phragmites australis. The average and maximum height of hydrophytes in AVI miniatures was similar except one miniature where Phragmites australis was planted in synthetic fiber mat and grew more slowly. The adsorbed amount of nutrients and microbes in coconut fiber mat were larger than those in synthetic fiber mat regardless of trophic state of installed waterbody. The continuous increase of adsorbed amount of nutrients and microbes of coconut fiber mat for 8 months in an oligotrophic lake indicates that coconut fiber mat is suitable for the planting mat of AVI in an oligotrophic lake where nutrients are limited for growth of hydrophyte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오길(1990).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연체동물 I), 32, 문교부.
  2. 김미리, 서은영, 최승익, 안태석(2006). 호수 생태계에서 살아있는 세균을 측정하기 위한 qDVC 방법의 적용. 한국미생물학회지, 42(3), pp. 205-209.
  3. 김용전, 최승익, 안태석(2008). 팔당호 인공식물섬 공극수에서 미생물 개체수와 체외효소활성도.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1(1), pp. 19-25.
  4. 김훈수(1977).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새우류), 19, 삼화서적주식회사.
  5. 농림부.농어촌진흥공사(1999). 수생식물에 의한 수질개선기법 연구.
  6. 박선구, 조인기, 권오병, 문정수, 엄한용, 황순진(2008). 인공식물섬에 의한 조류(Algae) 및 영양염류의 제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1(Special issue), pp. 93-98.
  7. 박혜경, 공동수, 변명섭, 전남희, 최명제, 윤석환, 유경아, 강필구(2006). 인공수초재배섬 운영.관리사업 보고서. 한강수계 팔당호 수질개선사업, 한강물환경연구소, 한강수계관리위원회.
  8. 박혜경, 공동수, 변명섭, 전남희, 최명재, 윤석환, 반병오, 신동명(2007). 인공수초재배섬 운영.관리사업 보고서. 한강수계 팔당호 수질개선사업, 한강물환경연구소, 한강수계관리위원회.
  9. 선용춘(2005). 인공식물섬의 영양염류 제거 및 정수식물 생장에 관한 연구. 조경학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0. 심우섭, 한인섭(1998). 울산지역에서 자생하는 갈대, 부들, 갈풀을 이용한 Reed-Bed의 생활하수 정화능력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7(2), pp. 117-121.
  11. 안윤주, 공동수(1995). 생이가래를 이용한 영양오염물질 제거방안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17(6), pp. 593-603.
  12. 안태석(2003). 여재를 이용한 자연순환방식의 수질정화시스템 개발. 강원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13. 안태석, 박현진(2001). 21세기의 새로운 환경기술-생태기술.국제심포지움 호수연안복원과 인공식물섬 발표논문집, pp. 129-141.
  14. 유경아, 박혜경, 변명섭, 전남희, 최명재, 윤석환. 공동수(2007). 팔당호에서 인공수초재배섬 설치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3), pp. 339-347.
  15. 윤일병(1988).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수서곤충류), 30, 문교부.
  16. 전남희, 박혜경, 변명섭, 최명재(2007). 인공수초재배섬에서 세균의 활성과 세균 군집 구조.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5), pp. 459-465.
  17. 정연숙, 오현경, 노찬호, 황길순(1999). 습지식물의 지상부제거가 생산력과 영양염류 제거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4), pp. 459-465.
  18. 최명재, 변명섭, 박혜경, 전남희, 윤석환, 공동수(2007). 팔당호 인공수초재배섬에서 수생식물 생장 및 영양염류 제거 효율.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3), pp. 348-355.
  19. 최병래(1992).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연체동물 II), 33, 교육부.
  20. 한강물환경연구소(2007). 남한강 수계 호소의 생태계 구조 조사.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1. 한강수계관리위원회(2007). 북한강 수계 호소의 생태계 구조조사.
  22. 한국수자원공사(1993). 수생식물 재배를 통한 댐저수지 유입수 수질개선 타당성 조사연구.
  23. 함종화, 윤춘경, 김형철, 구원석, 신현범(2005). 식생피도가 인공습지의 질소 및 인 처리 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습지조성 및 관리. 한국육수학회지, 38(3), pp. 393-402.
  24. 환경관리공단(2000). 수초재배섬 운영 결과 보고서.
  25. 환경부(2007).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6. Ahn, T. S. and Kong, D. S. (1998). Application of ecotechnology for nutrient removal. Frontier in biology : The challenges of Biodiversity, Biotechnology and Sustainable Agriculture. C. H. Chou and K. T. Shao (eds.), Academia Sinica, Taipei. pp. 209-216.
  27. Chrost, R. J. and Rai, H. (1994). Bacterial secondary production. In: J. Overbeck R. J. Chrost (eds.), Microbial ecology of Lake Plussee. Springer-Verlag, New York, pp. 92-117.
  28. Kawai, T. (1985). An illustrated book of aquatic insects of Japen. 東海大學出版會
  29. Mulderij, G., van Nes, E. H., and van Donk, E. (2007). Macrophyte - phytoplankton interactions: The relative importance of allelopathy versus other factors. Ecological Modelling, 204, pp. 85-92 https://doi.org/10.1016/j.ecolmodel.2006.1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