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Shear Strength for Recycled Fine Aggregates Mixed Soil

순환잔골재 혼합토의 전단강도 특성

  • 임월숙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
  • 권정훈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
  • 김민욱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
  • 김영묵 (한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Received : 2010.03.03
  • Accepted : 2010.04.16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were mixed with weathered granite soils typically used for fill materials and tested engineering properties, physical properties, and compac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the mixed soi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the results of A-type compaction test,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showed low effects compared to the weathered soils, but the mixed soils which were mixed with the weathered granite soils and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showed good compaction effects. Especially, the mixing ratio of 70:30 by weight showed for maximum compaction result. From the results of the direct shear test, the cohesion was ince csed according to proportion of the weathered granite soils. The weathered granite soils neared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showed for maximum shear strength paramcoers, while the cohesion of the mixed soil was relatively ince csed in the wet side of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This trend was seemed to remained cence composition in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and the mixed soils showed maximum value near dry side of the optimum moisture contents. And the internal friction angles of the mixed soil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proportion of the recycled fine aggregates.

화강풍화토와 상용화된 순환잔골재를 활용하여 정해진 혼합비율별로 제작한 혼합토에 대하여 물성 특성, 다짐특성 및 전단특성을 위한 시험을 행하였으며, 시험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다짐시험 결과 화강풍화토에 비해 순환잔골재는 다짐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강풍화토와 순환잔골재를 혼합한 혼합토의 경우에는 화강풍화토보다도 다짐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화강풍화토와 순환잔골재의 혼합비율을 중량비 70:30으로 한 경우 최대의 다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직접전단강도시험 결과 점착력은 모든 함수비에서 화강풍화토의 혼합비율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화강풍화토는 최적함수비 근처에서 최대점착력을 보인 반면 혼합토는 전반적으로 최적함수비의 습윤측에서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크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경향은 순환잔골재에 잔류하고 있는 시멘트 성분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내부마찰각은 화강풍화토에서 최적함수비 근처에서 최대로 나타난 반면, 순환잔골재 및 혼합토에서는 건조측에서 오히려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순환잔골재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내부마찰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6), 제2차 건설환경기본계획, pp. 143-158.
  2. 국토해양부(2009), 순환골재 품질기준, pp. 66-78.
  3. 김상규(1996), 보강토구조물 뒤채움 재료로서 화강풍화토의 적용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지, Vol. 12, No. 1, pp. 66-67.
  4. 김종열, 이용희, 이진수(2001), 세립분 함유량이 다짐화강토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21, No. 4-C, pp. 465-470.
  5. 박병기, 이진수, 이광찬, 문 용(1998), 풍화도에 따른 화강토의 파쇄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18, No. III-2, pp. 227-240.
  6. 이세현(2006), 건설공사에서의 순환골재 재활용 기술과 정책 방향, 대한토목학회지, Vol. 54, No. 4, pp. 135-140.
  7. 이용수, 권용완, 현재혁(2005), 도로건설재료로 순환골재의 공학적・환경적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 6, No. 3, pp. 17-23.
  8. 임헌경(2004), 충남지역 화강 풍화토의 다짐조건에 따른 전단강도 특성, 석사학위논문, 한밭대학교, pp. 1∼90.
  9. 정진섭, 양재혁(2000), 다짐화강토에 대한 다짐함수비와 입자파쇄의 영향,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20, No. 3-C, pp. 269-279.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0), 건설부산물 유효활용 기술, 연구보고서, 건기연 2000-072, pp. 33-83.
  11. 환경부(2007), 제2차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2002-2011) 수정계획, pp. 94-99.
  12. Das, B. M.(2002),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5th ed., Brooks/Cole, pp. 100-138.
  13. Miura, M. and Yamaouchi, T.(1975), Effect of Water on the Behaviour of a Quartz-rich Sand under High Stresses, Soils and Foundations, Vol. 15, No. 4, pp. 29-34. https://doi.org/10.3208/sandf1972.15.29
  14. Wong, H. Y.(1982), An Evaluation of Various of Triaxial Testing and Analysis for Residual Soils in Hong Kong, Proceedings of the Seventh Southeast Asian Geotechnical Conference, Hong Kong, pp. 3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