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 측정된 대청호 Chlorophyll-a의 자료 특성 및 상관 분석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of Chlorophyll-a Data Monitored Continuously in Daecheong Reservoir

  • 투고 : 2010.08.23
  • 심사 : 2010.10.12
  • 발행 : 2010.11.30

초록

The toxin of Cyanobacteria (blue-green algae) during summer season has been a problem and early prevention should be considered. A variety of methods can be used to forecast algal blooms and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feasibility of chlorophyll-a. The real-time data were collected by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AWQMS) in Daecheong reservoir and invalid data were sorted by experts. And then, the sorted data were filled using linear interpola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increased by $15mg/m^3$, water temperature and pH exceeded $26.8^{\circ}C$ and 9.5 respectively. As a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chlorophyll-a and other parameters(i.e. water quality items and hydrological data), temperature (r=0.502 - 0.574), pH (r=0.583 - 0.681), total organic carbon (TOC, r=0.583 - 0.681) comparably had higher values. Meanwhile, the data around a day or two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addition, chlorophyll-a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ly effected by precipitation and inflow.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개발연구원(2001). 녹조제어 사례에 기초한 녹조 방지 사업의 적용 방안.
  2. 국립환경연구원(1996). 정책결정자를 위한 부영양화 관리 방안.
  3. 국립환경연구원(1999). 호소내 조류 대발생에 대한 수면제어기술에 관한 연구(II) - 팔당호 수역을 중심으로 한 제어기술의 개발. pp. 173-179.
  4. 국립환경과학원(2006). 수질자동측정망 측정항목 및 경보기준의 합리적 조정방안 연구.
  5. 국립환경과학원(2008). 대청호 수질 및 조류발생 실태조사.
  6. 국립환경과학원(2009). 2009년 대청호 조류예보제 시행결과.
  7. 박종근(2005). 대청호의 남조세균 수화 발달 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3(3), pp. 304-314.
  8. 박혜경, 서용찬, 조일형, 박병황(2006). 녹조현상 원인조류들의 염소처리에 의한 소독부산물 생성 및 microcystins 유출.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2(3), pp. 513-520.
  9. 박혜경, 천세억, 유재근(1993). 인공배양에 의한 수화원인 남조류의 중식특성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8(1), pp. 47-54.
  10. 양형재, 김병익(2006). 주암호의 수질변화 및 COD 및 Chl-a 농도의 상관관계 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8(12), pp. 1331-1336.
  11. 유순주, 황종연, 채민희, 김상용(2006). 대청호 유속에 따른 조류이동 영향.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pp. 420-431.
  12. 윤성규, 공동수, 배우근(2010). 하천형 저수지의 단순 물질수지모델링.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3), pp. 420-431.
  13. 이재용, 자히둘이슬람, 신명선, 정성민, 김범철(2010). 인북천에서 부착조류 현존량의 시.공간적 변동.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1), pp. 104-110.
  14. 이재정, 이재안, 천세억(2008). 강우 특성이 대청호 조류예보 발령에 미치는 영향.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pp. 546-547.
  15. 임병진, 홍은영, 연인성(2010a). 수질자동측정망 자료의 항목별 이상치 비교 분석.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4), pp. 700-706.
  16. 임병진, 홍지영, 연인성(2010b). 대청호 내 실시간 수질측정 자료를 이용한 CME WQI의 적용.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6(5), pp. 796-801.
  17. 정승현, 안치용, 최애란, 장감용, 오희목(2005). 대청호에서 강우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관계.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3(1), pp. 57-63.
  18. 천세억, 이재안, 이재정, 유영복, 방규철, 이열재(2006). 대청호 유입유량 변동과 수질 및 조류증식의 관계.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2(2), pp. 342-348.
  19. 한국수자원공사(2002). 대청호 남조류 수화발달의 생태기작 연구(2차년도).
  20. Henderson-Seller, B. and Markland, H. R. (1987). Decaying Lakes: The Origins and Control of Cultural Eutrophic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in the Environmental Science), John Wiley & Sons, Chichester.
  21. Hornsby shire council (HSC) (2008). Estuary Management Program (2007-2007 Annual Report), Australia.
  22. Mur, L. R., Skulberg, O. M. and Utkilen, H. (1999). Cyanobacteria in the environment. In Toxic Cyanobacteria in Water: A Guide to Their Public Health Consequences, Monitoring and Management, I. Chorus and J. Bartram (ed.), E&FN Spon, London, pp. 15-40.
  23. Robarts, R. D. and Zohary, T. (1987). Temperature cffects on photosynthetic capacity respiration, and growth rates of bloom-forming cyanobacteria. N. Z. J, Mar. Freshwat. Res., 21, pp. 391-399. https://doi.org/10.1080/00288330.1987.9516235
  24. Wetzel, R. G. (2001). Limnology 3rd,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