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finition and Measure Development for EA Functions

전사 아키텍처(EA)의 기능 정의 및 측정지표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정승렬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학부) ;
  • 강재화 (국토해양부 통계정보화담당) ;
  • 이봉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Recently, Enterprise Architecture (EA) has emerged as the important keyword i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With this phenomenon, there are tremendous need for the measures of EA functions, one of the key EA research variables, to provide academic insights and accumulate research findings in this area. Thus far, multiple definitions and concepts for EA functions exist, causing confusion among observers. Thus,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ual meaning behind the term "functions of EA" once and for all, this study reviews previous literature and provides conceptual definition. Then, we identify 24 items and rigorously develop and validate the measurement instrument for EA functions, which results in five domains: Infrastructure Systemization, Integration Management, IT Governance Support, Development and Operation Management, and Investment Management.

최근 국내에서는 공공 분야는 물론 민간 분야에서도 전사 아키텍처(Enterprise Architecture, EA)의 도입 및 활용이 정보화 분야의 주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EA 분야에 대한 관심사를 학문적으로 뒷받침하고 관련 지식의 축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EA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및 연구 변수 중의 하나인 EA 기능을 측정하는 측정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EA 기능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개념적 정의를 하였으며 그 후 이러한 정의를 측정하기 위한 조작적 정의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24개의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측정지표 개발 및 검정 절차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5 개 EA 기능의 하위 영역(sub-dimension)이 나타났으며, 이들은 '인프라 체계화', '통합 관리', 'IT 거버넌스 지원', '개발 및 운영관리', 그리고 '투자 관리' 등이다. 본 연구 결과는 EA 기능에 대한 측정지표를 개발하고 검증함으로써 향후 EA 기능을 주요 변수로 하는 더 많은 EA 관련 실증 연구들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지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서와 김계수, 한글 SPSS 12K 사회과학 통계분석, SPSS 아카데미, 2005.
  2. 김성근, 박현주 “Enterprise Architecture의 필요성 및 추진방안”, ISR, Dec. 2002.
  3. 박영태, “전자상거래시대 IT업무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EA: 정부기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전자상거래학회, 하계학술세미나, 2004.
  4. 배병렬, 리즈렐 구조방정식 이해와 활용, 대경출판사, 2002.
  5. 안연식, 강재화, 조형래, 김문중, “IT 거버넌스의 영향요인 분석: ITA/EA 기능 중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6권 제2호, pp.63-80, 2007.
  6. 이석균, 이영민, 류성렬, “EA성과평가 모델의 설계 및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제16-D권 제3호, pp.395-406, 2009. https://doi.org/10.3745/KIPSTD.2009.16-D.3.395
  7. 이태공, 박성범, 이헌중, 정보기술 아키텍처, 기한재, 2000.
  8. 이헌중, “ITA 도입 및 표준화 방안”, 디지털 행정, 제25권, 제2호, pp.57-68, 2002.
  9. 장시영, “전사적아키텍처 기획(EAP)을 통한 IT 아키텍처의 구 축-정보시스템 기획(ISP)의 새로운 패러다임,” 성균관대학교 경영연구소, 2001.
  10. 정보통신부고시 제2006-35호,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정보기술아키텍처 도입․운영 지침', 2006. 9.
  11. 최재원 등, “전사적 아키텍처의 효과적인 수립과 추진방안에 대한 사례연구”, LGCNS 엔트루 정보기술 연구소, 2004.
  12. 한국정보산업연합회(FKII), “IT 거버넌스: IT와 비즈니스의 전략적 연계”, 2006.1
  13. 한국정보화진흥원 (구 한국전산원), 정보기술아키텍처 이용방안 연구, 2001.
  14. 한국정보화진흥원 (구 한국전산원), 정보기술아키텍처안내서, 2003.
  15. 한국정보화진흥원 (구 한국전산원), “국내 정보기술아키텍처 도입실태 분석에 대한 연구”, 정보화정책 이슈, 2005.
  16. Byrne, B. 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PRELIS and SIMPLIS: Basic Concepts, Application and Programming, Erlbaum, 1998.
  17. Chin, W.W. and Todd, P.A., “On the Use,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IS Research: A Note of Caution,” MIS Quarterly, Vol.19, Issue. 2, pp.237-246, 1995. https://doi.org/10.2307/249690
  18. Churchill, G.A.,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6, pp.64-73, 1979. https://doi.org/10.2307/3150876
  19. Churchill, G.A., 1992. Marketing research, 5th Edition, The Dryden Press, Hinsdale, IL.
  20. CIO Council, “Federal Enterprise Architecture Framework Version 1.1”, 1999.
  21. DoC, “Technical Reference Model and Standard Profile Framework,” Feb., 2001.
  22. DoD Architecture Framework Working Group, “DoD Architecture Framework Version 1.0 Volume I, II”, 2003.
  23. DoE(ducation), “IT Architecture Principles Guidance“, Office of the Chief Information Officer, March 1999.
  24. DoT, “Treasury Enterprise Architecture Framework Version 1”, 2000.
  25. Federal, “A Practical Guide to Federal Enterprise Architecture Version 1.0”, Chief Information Officer Council, 2001.
  26. GAO, IT Enterprise Architecture Use across the Federal Government Can Be Improved, 2002.
  27. IFEAD, “Enterprise Architecture 2005: How are Organizations Progressing?”, Report of the Third Measurement, Dec., 2005.
  28. Kappelman, L., McGinnis, T., Pettite, A., Sidorova, A, “Enterprise Architecture: Charting the Territory for Academic Research”, Proceedings of the Fourteenth Americas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Canada August, pp.1-10, 2008.
  29. New Mexico State, “New Mexico IT Strategic Plan Strategies”, 2001.
  30. OMB's memorandum M-97-16, "Development, Maintenance, and Implementation of Agency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Jul., 1997.
  31. Police Information Technology Organization, “National Strategy for Police Information Systems Technical Architecture version I”, 1996.
  32. Segars, A. H. and Grover, V., “Re-Examining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IS Quarterly, Vol.17, Issue 4, pp.517-525, 1993. https://doi.org/10.2307/249590
  33. The Open Group,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Interoperability In The Ministry of Defence.”, www.opengroup.org/public/arch/p4/cases/ukmod/ukmod.htm, 1997.
  34. U.S. Custom Service, Enterprise Architecture Blueprint, 1999.
  35. U.S. Department of Energy and Oak Ridge Associated Universities, The Performance- based Management Handbook, 2001.
  36.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37. U.S. Department of Energy
  38. Vasconcelos, A., Sousa, P., and Tribolet, J., “Information System Architecture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formance Measures, Benchmarking and Best Practices in New Economy, Portugal, 2003.
  39. Zachman, John. “A framework for Information Systems Architecture.” IBM Systems Journal. Volume 26, number 3, 1987 https://doi.org/10.1147/sj.263.0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