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nfluence of Foodservice Manag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Attitud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급식관리자의 개인적 감성지능이 직무태도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Jung, Hyun-Young (Dept. of Food and Nutri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Ah (Dept. of Food and Nutrition, Kyungnam University)
  • 정현영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0.08.30
  • Accepted : 2010.11.2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provide evidence concerning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outcomes, b) examine the impa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employee-related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c) identify the conceptual framework underlying emotional intelligence.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foodservice managers (N=231). Statistical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SPSS Win (16.0) for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MOS (16.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concept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has been on the radar screens of many leaders and managers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emotional intelligence is generally accepted to be a combination of emotional and interpersonal competencies that influence behavior, thinking and interaction with oth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our EI (Emotional Intelligence) dimension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ge. The means of job satisfaction score were above the midpoint (3.04 point) scal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 was above the midpoint (3.41 point) scale and was higher at 'loyalty' factor than 'commitment' factor. The mean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score were above the midpoint (3.34) scale. The correlations among the four EI (emotional intelligence) factors were significant wit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The test of hypothe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produced positive effects on job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 turn, managers' attitude produce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emotional intelligence also had a direc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attitudes toward one's job.

본 연구에서는 급식관리자를 대상으로 감성지능의 수준에 따른 관리자의 관련 변인, 직무 태도, 조직성과와의 관련성을 토대로 감성지능의 효과성 모형을 구축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모형검증을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지능은 자신 및 타인의 감성을 인지하고 이해하며, 자신의 감성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와 자신의 감성을 활용할 줄 아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조사대상자인 급식관리자의 감성지능 수준에 있어서는 급식관리자 본인의 감정 상태와 원인을 인식하고 있는 정서자각 능력과 동료의 감정에 대해 인지하고 이해하는 능력인 정서이해 능력이 5.10점으로 4개의 감성지능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정서적 사고촉진이 높은 점수(4.90점)로 조사되었고, 본인의 감정을 조절하고 해결하는 정서관리 능력이 가장 낮은 점수(4.55점)로 조사되었다. 급식관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감성지능 수준을 살펴보면, 급식관리자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성지능의 4요인 모두 정(+)의 상관성을 보였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성지능 수준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학력이 높을수록 감성지능의 '정서지각', '정서관리' 요인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감성지능의 '정서지각', '정서이해', '정서적 사고촉진', '정서관리'와 급식업계근무경력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급식 관리자의 직무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사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동료들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상당히 만족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였으나, '급여수준'이나 '승진제도'에 대해서는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급여나 승진 등의 근무조건 개선이 여겨졌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는 3.04로 '보통(3점)'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였다. 전반적인 조직몰입의 수준은 3.41로 '보통(3점)'을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조직몰입도가 특히 높은 항목은 '현재회사의 선택', '타인에게의 현재 회사에 대한 평', '회사에 대한 충성심'으로 분석된 반면, '자신이 일할 수 있는 회사 중 가장 좋은 곳이라는 인지', '상황변화에 따른 타사로의 이직희망도' 측면에서는 몰입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 요인 2가지 중 '충성도' 요인이 3.57로 '일체감' 요인 3.33보다 높았다. 회사를 이직하고자 하는 견해에 따라 4단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회사를 이직하고자 하는 견해에 따라 '자발적 이직 의향', '이직 모색단계', '구체적 실천단계: 동종업계', '구체적 실천단계: 타업계'로 나누어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전반적인 이직 의사수준은 '보통(3점)' 이하(2.82)로 나타났고 대부분은 주로 이직 행동 단계 중 '자발적 이직 의향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직 할 경우 급식업계 내에서보다는 타업계로의 이직 희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성과는 조직의 초점을 내부적 차원과 외부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각 차원에 대해 구현되는 성과를 능률성(efficiency), 효과성(effectiveness), 공정성(fairness) 3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으며, 전반적인 조직성과의 인식수준은 3.34로 '보통(3점)'을 상회하는 수준이었고, 조직성과가 특히 높은 항목은 '비용절감 노력'으로 분석된 반면, '인사관리에 있어서의 공정성', '직책에 상관없이 공정한 대우'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과를 보였다. 급식관리자의 감성지능 수준과 급식관리자 관련 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성과 이직의사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급식관리자의 감성지능 4가지 모든 요인 '정서지각', '정서이해', '정서적 사고촉진', '정서관리'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성과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감성지능 '정서지각', '정서이해', '정서적 사고촉진', '정서관리'는 이직의사 4요인 중 '구체적실천단계: 타업체'와 모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이해'는 '이직의향'과 '구체적실천단계: 타업체'와 부(-)의 상관성이 있음이 분석되었다. '정서관리'는 이직의사 4요인 모두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관리자 개인의 감성지능의 수준은 스스로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조직성과와 정(+)상관성이 있으며, 이직의사와는 부(-)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 관련선행 연구 이론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측정된 개념인 감성지능의 수준과 조직 및 종사자 관련 변인, 조직성과에 대한 가설을 토대로 감성리더십의 효과성 모형을 구축하여 구조 방정식(SEM)을 이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경로계수를 중심으로 검증한 결과 관리자의 감성지능의 수준은 조직몰입, 조직성과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관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이직의사에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관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조직성과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감성지능에 대한 연구가 현재까지 대부분 교육학 심리학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 감성역량, 감성경영이 기업의 조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들이 보고되면서 경영분야에서 관심이 뜨겁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감성능력이 타고난 개인적인 능력뿐 아니라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하며, 유동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함이 알려지면서 감성능력의 개발은 기업의 경영에 있어서 필수요소가 되어지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인적의존도가 높은 급식업계에서 감성능력의 개발과 감성능력이 높은 관리자, 종사자가 높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어, 향후 급식회사의 최고 경영층은 감성능력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급식 현장에 접목하고, 경영활동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급식회사의 급식관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향후 학교급식, 병원급식, 군대급식 등의 다양한 단체급식 영역과 패밀리레스토랑, 패스트푸드레스토랑 등의 다양한 외식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감성지능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Bob W. 2006. Coaching for Emotional Intelligence. AMACOM,New York, USA. p 3-10.
  2. Shin JK, Moon SK, Moon HN. 2004. Emotional managementemotional leadership. Nexbiz, Seoul, Korea. p 15-35.
  3. Lee YS, Jo BW. 2003. Trend and direction for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motional intelligence. J 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0: 1-26.
  4. Thorndike RL. 1930. Factor analysis of social and abstract intelligence. J Educ Psychol 27: 231-233.
  5. Gardner L, Stough C. 2002.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senior level managers.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 ournal 23: 68-78. https://doi.org/10.1108/01437730210419198
  6. Salovey P, Mayer J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7.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New York, USA. p 13-45.
  8. Saarni C. 2000. Emotional competence: A development perspective. In The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Bar-On R, Parker JDA, eds. Jossey-Bass, San Francisco, CA, USA. p 68-91.
  9. Mayer JD, Salovey P, Caruso DR. 1999. MSCEIT I tem Booklet (Research Version 1) Multi-Health System. Dude Publishing, Toronto, Canada. p 12-329.
  10. Goleman D, Boyatzis R,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 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USA. p 12-53.
  11. Goleman D. 2002.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New York, USA. p 15-156.
  12. Schutte NS, Malouff JM, Hall LE, Haggerty DJ, Cooper JT, Golden CJ, Dornheim L.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5: 167-177. https://doi.org/10.1016/S0191-8869(98)00001-4
  13. Mayer JD, Caruso DR, Salovey P. 2000.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traditional standards for an intelligence. Intelligence 27: 267-298.
  14. Salovey P, Stroud LR, Woolery A, Epel ES. 2002.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reactivity and symptom reports: Further explorations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Psychology & Health 17: 611-627. https://doi.org/10.1080/08870440290025812
  15. Cooper RK. 1997. Applying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workplace. Training and Development 51: 31-38.
  16. Lyons J, Schneider TR. 2005.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39: 693-703. https://doi.org/10.1016/j.paid.2005.02.018
  17. You HK, Kim SP.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Korea Human Resource Management 15: 127-146.
  18. Chong HK, Han HS. 2010.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staurant staffs customer orientation.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67th Conference. Kangwondo, Korea. p 797-817.
  19. Wong CS, Law K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 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20. Smith PC, Kendall LM, Hulin CL. 1969.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A strategy for the study of attitudes. Rand McNally and Company, Chicago, IL, USA.
  21. Lee HY, Yang IS. 2004. The model of TQM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apacity of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Tourism Research 28: 203-219.
  22. Lok P, Crawford J.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subculture, leadership style and job satisfaction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 ournal 20: 365-373. https://doi.org/10.1108/01437739910302524
  23. Brewer GA, Selden SC. 2000. Why elephants gallop: Assessing and predi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federal agencies. J 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0: 685-711.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jpart.a024287
  24. Brewer GA, Selden SC, Facer II RL. 2000. Individual conception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0: 254-264. https://doi.org/10.1111/0033-3352.00085
  25. Sally CS, Jessica ES. 2004. Testing a multi-dimensionalSally CS, Jessica ES. 2004.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prospects and problem. J 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4: 395-416. https://doi.org/10.1093/jopart/muh025
  26. Park IA. 2007. The effect of senior welfare center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 job competenc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4: 187-208.
  27. Won YS. 2007. A study of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hotel employee on performance-emphasized on the hotel food and beverage service employees personality. The Study of Hotel Management 16: 97-120.

Cited by

  1. Understanding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Job Attitud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itchen Staff vol.27, pp.4, 2012, https://doi.org/10.7318/KJFC/2012.27.4.354
  2. Emotional Intelligence,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Hair Salon Workers vol.17, pp.2, 2019, https://doi.org/10.20402/ajbc.2019.0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