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장례메이크업의 적용 방법

Application of Funeral Make-up

  • 김미혜 (서라벌대학 장례서비스경영과) ;
  • 서란숙 (호서벤처전문대학원 보건환경과)
  • 투고 : 2010.11.02
  • 심사 : 2010.12.15
  • 발행 : 2010.12.28

초록

장례서비스는 인생의 마지막 단계인 죽음을 다루는 의례절차에 관한 것으로, 복지서비스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으며, 고인의 마지막 형태를 복원하는 고전적인 회복기술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생시 모습의 재현 내지는 더 나은 외모로 표현하는 메이크업의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고인의 마지막 모습을 좋은 모습으로 기억코자 하는 유족들의 요구에 의한 것으로, 시대별로 변화되고 있는 방법들을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장례메이크업은 유족의 요구에 부응하여 죽은 이의 마지막 모습을 아름답게 꾸며줄 수 있는 우리의 장례문화의 가장 주요한 한 과정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장례식장 내에서 고인을 모시는 입관 단계에서부터 꽃 장식, 관보 등의 인테리어, 음향효과, 조명시설, 특수 재료와 함께 연구되어야 할 장례 메이크업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용성을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As the funeral service is on ritual of addressing death that is the final phase of life, it can be said to be the final stage of welfare service. It is developing into the stage of make-up, which reproduces the image of reality or expresses with the better appearance from the level of recovery technique, which restores the final form of the dead. This is caused by a request of the bereaved family with the aim of remembering the dead's final image with good looks. Methods, which are being changed by period, can be found in a record. As this funeral make-up is one field of special make-up, it is systematically made into proper application method along with the development in special materials. Thus, it will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urses henceforth in our funeral culture available for beautifully decorating the dead's final image. In order to satisfy the request of the bereaved family, it is necessary to made floral decoration, casket cloth, and acoustic effect including the casket stage of worshipping the dead inside the funeral hall.

키워드

참고문헌

  1. Mayer, J. Sheridan, Color and Cosmetics, Paula Publishing Co. Inc., Cincinnati, Ohio, 1978.
  2. 김희숙, 뷰티 & 스페셜 메이크업, 신정출판사, 2002.
  3. 서규석, 이집트사자의 서, 문학동네, 1999.
  4. 푸랑수아드 두낭 저, 이종인 역, 미이라(영혼으로 의 여행). 서울: 시공사, 1997.
  5. 정제진, 보학해설편람, 명지출판사, 1989.
  6. 이민수, 조선전, 서울: 탐구당, 1995.
  7. 장철수, 관혼상제, 서울: 집문당, 1995.
  8. Robert G. Mayer 저. 황규성(외5인) 역, 시신위생처리, 대학서림, 2003.
  9. 순남숙, “다산의 임습의 제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66,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