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컨버전스시대 감성영역의 확장과 산업활용 -Sommerer와 Mignonneau의 인터넷 아트 분석을 중심으로-

Expansion of Sensibility Area and Industrial Application in the Convergence Era - With Special Reference to Analysis of the Internet Arts of Sommerer and Mignonneau -

  • 김희영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 이용재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10.07.07
  • 심사 : 2010.11.30
  • 발행 : 2010.12.28

초록

오늘날 '컨버전스'와 '소통'은 모든 분야에서 키워드가 되고 있다. 예술가와 공학자는 새로운 기술에 기반을 둔 협업을 통해 그 동안의 상호단절에서 벗어나 점차 소통하고 있다. 컨버전스 시대에 예술 영역의 인터넷 아트와 기술 영역의 내비게이션과 아이폰에서 오감융합기술의 활용이 돋보인다. 소메라와 미뇨노의 인터넷 아트 $\ll$Riding the Net$\gg$, $\ll$The Living Room$\gg$, $\ll$The Living Web$\gg$은 음성인식을 통한 시각이미지와 촉각을 통한 시 공간 표현을 인터넷과 오감융합기술을 통해 구현하고 있다. 그리고 산업기술에서 내비게이션과 아이폰은 음성인식을 통한 오감융합기술을 적용하여 감성영역을 확장하여 인터넷 아트와 비슷한 기술을 선보인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술과 기술의 융합적 발전은 디지털 아트와 문화기술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convergence' and 'communication' have been keywords in many areas. Artists and engineers have begun to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collaboration based on new technologies. One of the exemplary technologies of this era of convergence is a technology of fusing five senses used by both Internet Art and industrial technologie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and the iPhone. Sommerer and Mignonneau's Internet Art $\ll$Riding the Net$\gg$,$\ll$The Living Room$\gg$, and $\ll$The Living Web$\gg$ implement the Internet and the five-sense fusion technology to translate not only sound into visual images but also tactile senses into tempo-spatial representations. Likewise, industrial technologie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and the iPhone employ the five-sense fusion technology of speech recognition, which leads to the expansion of the realm of senses in technology as seen in Internet Art. As examined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rt and technology through their convergence will open up a new dimension of digital art and culture technology industry.

키워드

참고문헌

  1. 류석상, “디지털 컨버전스로 나타나는 유비쿼터스 사회”, 유바쿼터스사회연구시리즈,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학술정보, 제3호, 2005(9).
  2. 이진천, “디지털 컨버전스”, 설비저널, 제35권, 제9호, pp.61-62, 2006(9).
  3. 은광하, “컨버전스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엔진과 문화적 특성”, 인포디자인이슈, 17호, pp.33-44, 2009(6).
  4. 김원제,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 콘텐츠 진화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007 봄철 정기학술대회, pp.230-234, 2007(5).
  5. 레이철 그린, 인터넷 아트, 시공사, 2008.
  6. 헨리 젠킨스, 컨버전스 컬처, 비즈앤비즈, p.410, 2008.
  7. 월간미술편, 세계미술용어사전, 중앙일보사, p.145, 1994.
  8. 크리스티안 폴, 디지털 아트, 시공사, p.8, 2007.
  9. 강수정, “인터넷 아트의 현황과 전망”, 현대미술관 연구, 제14집, 2003.
  10. http://en.wikipedia.org/wiki/Internet_art
  11. 박준석, “차세대 휴먼 인터페이스의 오감 정보처리 기술”,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학술정보, 주간기술동향, 1252호.
  12. 김정현, 홍광석, “WiBro를 이용한 위치 기반 집단 지능형 오감 멀티미디어 기술”, 한국인터넷 정보학회, 제9권, 제4호, 2008.
  13. 신정훈, “오감융합 기술 개발 현황 및 전망”, 정보과학회지, 제26권, 제1호, 2008(1).
  14. C.Sommerer and L.Mignonneau, "Modeling the Emergence of Complexity", LEONARDO, Vol.35, No.2, pp.161-169, 2002. https://doi.org/10.1162/00240940252940531
  15. http://www.interface.ufg.ac.at/christa-laurent/WORKS/CONCEPTS/TheLivingRoomConcept.html
  16. http://www.interface.ufg.ac.at/christa-laurent/WORKS/CONCEPTS/TheLivingWebConcept.html
  17. C.Sommerer and L.Mignonneau, "Art as a Living System ", LEONARDO, Vol.32, No.3 pp.165-173, 1999. https://doi.org/10.1162/002409499553190
  18. http://www.youtube.com/watch?v=anAarpAbfbg
  19. http://www.fine-drive.com
  20. http://www.apple.com/kr/iphone
  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 산업의 융합유형별 사례 및 전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5권, 제5호, 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