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대학 자동차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 공학기술분야 교육과정의 탈학제적 개념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ransdisciplinary Conceptual Model on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for the Colleg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in the Y College

  • 투고 : 2010.06.28
  • 심사 : 2010.09.14
  • 발행 : 2010.09.30

초록

이 연구는 Y대학 자동차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현행 교육과정 분석, 학제성 유형에의 적용, 새로운 학제적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전문대학 공학기술분야 교육과정의 탈학제적 개념모형을 개발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 및 현행 교육과정 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이다. Y대학 자동차과 교육과정 분석 결과, 간학제적 교육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탈학제성 교육과정의 개념적 모형에 대한 적용가능성에 대한 전공교수 인터뷰 결과, 수업에 적용가능하지만, 학교제도의 문제, 이론에서 실제로의 순차적 적용의 문제, 강사확보의 문제, 간학제적 수업교재의 부재 등의 이유로 인해,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conceptual model of transdisciplinary curriculum in the Field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for the Colleg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the Y College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current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automobile engineering in Y college. Methodology is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 is that current curriculum is interdisciplinary. The interview to the faculty members in Y college about the applicability of a conceptual model of transdisciplinary curriculum on the course is that transdisciplinary curriculum model could be applied to the course but because of the variety of problems, it would be difficult to apply new curriculum.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등교육법(2010.01.22. 일부개정).
  2. 고등교육법 시행령(2010.02.18. 일부개정).
  3. 교육인적자원부(2002). 국가 전략분야 학제적 교육.연구 활성화 방안.
  4. 권재일. 김창민. 박찬국. 박성창(2006). 인문학의 학제적 연구, 교육현황과 활성화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5. 김재복(2001). 통합교육과정. 서울:교육과학사.
  6. 김종율. 주동우. 문철진. 박용남(2008). 자동차전공 교육과정 개선. 양산대학 성장동력특성화사업단 보고서.
  7. 김혜정(2002). 텍스트 이해의 과정과 전략에 관한 연구 : '비판적 읽기' 이론 정립을 위한 학제적 접근.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학민(2005). 전자무역의 학제적 특성 및 실행체계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30(5): 161-182
  9. 나영선. 박헌. 박준원. 탁민제. 고혜원. 신문규(2002). 국가 전략분야 학제적 교육, 연구 활성화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10.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2010.03.17. 일부개정).
  11.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2009. 02.03. 일부개정).
  12. 윤보석(2007). 새로운 인문학과 학제적 연구. 철학과 현실, 75: 153-161
  13. 이남인(2005).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철학과 현상학 연구, 24: 91-121
  14. 장석인. 서동혁(2010). 뉴 노멀(New Normal)시대, 산업 융합 비전과 전략.
  15. 산업연구원. 진위교(2000). 교육공학의 간학문성과 발전방향. 교육공학연구, 16(3): 3-25
  16. ASHE Higher Education Report; 2009, 35(2): 11-30, 20p, 2 Charts
  17. Choi, Bernard C. K. & Pak, Anita W.P. (2006). Multidisciplinarity, interdisciplinarity and transdisciplinarity in health research, services, education and policy: 1. Definitions, objectives, and evidence of effectiveness, Clin Ivest Med, 29(6).
  18. Feldman, M. S. (1995). Strategies for interpreting qualitative data.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19. Flinterman, J. F., Teclemariam-Mesbah R, Broerse J.E.W., & Bunders, J.F.G.(2001). Transdisciplinary: the new challenge for biomedical research.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21(4): 253-266
  20. Holley, Karri A. (2009). Understanding Interdisciplinar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Higher Education. ASHE Higher Education Report, 35(2): 1-131
  21. Holstein, J. A., & Gubrium, J. F.(1998). Phenomenology, ethnomethodology, and interpretive practice.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Strategies of qualitative inquiry 137-57.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2. Jacobs, Heldi, H. (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SCD.
  23. Kockelmans, J. (Ed.). (1979). Interdisciplinarity and higher education. University Park: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4. Lattuca, Lisa R.(2001). Creating interdisciplinarity: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teaching among college and university faculty. Vanderbilt University Press.
  25. Newell, William H. & Green, William J. (1982). Defining and teach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Improving College and University Teaching, 30(1): 23–33
  26.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1972). Interdisciplinarity: Problems of research and teaching in universities.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7. Rosenfield, Patricia L. (1992). The potential of transdisciplinary research for sustaining and extending linkages between the health and social sciences. Soc. Sci Med, 35(11): 1343-1357
  28. Roy, R.(1979). Interdisciplinary science on campus: The Elusive Dream. In Kockelmans, Joseph J.(Ed.), Interdisciplinarity and higher education, p 161-196.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