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Free-inquiry Science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in Each Inquiry Steps by Cognitive Level and Learning Motivational Type of the Students

학습자의 인지수준 및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효과 및 탐구 단계별 상호작용 특성

  • Received : 2009.08.28
  • Accepted : 2010.07.01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and interactions which occurred in each step of free-topic scientific inquiry to help science teachers understand free-topic scientific inquiry better. Free-topic scientific inquiry is helpful to students with a deep strategic learning goal orientation type or a deep strategic ability goal orientation type in their transition (2B/3A) of cognitive levels. Most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the phase of establishing topics and hypotheses. The result says that the discussion techniques are improved through free-topic scientific inquiry, but the quality of interaction is not easily improved. The deep strategic learning goal orientation type concretizes opinion through interaction in free-topic scientific inquiry. The deep strategic ability goal orientation type are actively involve in the interaction, but they pay no attention to the process because they stick to the result. The surface strategic ability goal orientation type can not deepen a discussion due to high frequency of low level inquiry. However, the frequency of high level inquiry increases through free topic scientific inquiry operation.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free-topic scientific inquiry were discussed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progress of free-topic scientific inquiry and the organization of grouping were drawn.

이 연구는 자유주제 과학탐구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지수준 향상 정도 및 탐구단계별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자유주제 과학탐구에 대한 질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자유주제 과학탐구는 인지수준이 과도기(2B/3A)이고, 학습동기수준이 심층학습형, 심층능력형인 학생들의 탐구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탐구과정 중 주제 및 가설설정단계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자유탐구가 진행됨에 따라 논의의 기술은 증가하나,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은 쉽게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심층학습형은 모둠 내에서 사고의 정교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심층능력형은 가장 주도적으로 상호작용에 참여하여 논의를 이끄나, 탐구결과에 대한 집착으로 과정적 측면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피상능력형은 하위수준의 상호작용이 많아서 논의를 심화시키지 못하나, 자유탐구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상위수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 연구로부터 자유주제 과학탐구 활동의 특성 및 자유주제 과학탐구 활동의 진행과 모둠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해 논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민 (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과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은형 (2001). 중학교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문제 해결 유형과 탐구수준 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혁렬 (1998). 과제학습을 이용한 지리와 탐구력 신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교육부 (1998). 과학과교육과정(별책9). 서울: 대한교과서.
  5.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III). 서울: 대한 교과서(주).
  6.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7차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및 해설.
  7. 김조연, 신애경, 박국태, 최병순 (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이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대한화학회지, 45(5), 470-480.
  8. 김종일, 우종옥 (1993). 고등학생의 인지수준과 과 학탐구 능력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96-307.
  9. 김지영, 성숙경, 강성주, 박종윤,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의 효과. 한 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57-767.
  10. 박성기 (2008). 자유탐구과제 수행 과정에서 나타 난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성숙경 (2005).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징.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손영식 (2000). 과학과 교수-학습 개선에 관한 연구. 연구논총_경기도 교육연구정보원, 12(9), 165-191.
  13. 이현영, 장상실, 성숙경, 강성주,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60-670.
  14. 장상실 (2003).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변화와 변화 요인.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조희형 (1992). 과학적 탐구의 본질에 대한 분석 및 탐구력 신장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12(1), 61-73.
  16. 지혜미 (1995). 우리나라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 력과 과학 탐구 능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이화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최병순, 허명 (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 학교과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9-32.
  18. 현종오 (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 구실험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Anderman, E. M. & Young, A. J. (1994). Motivation and strategy use in science: Individual differences and classroom effec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8), 811-831. https://doi.org/10.1002/tea.3660310805
  20. Cohen, E. G. (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1), 1-35. https://doi.org/10.3102/00346543064001001
  21. Jones, M. G., Rua, M. J., & Garter, G. (1998). Science teachers' conceptual growth within Vygotsky's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9), 967-98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11)35:9<967::AID-TEA2>3.0.CO;2-R
  22. Lompscher, J (1994). Learning strategies: An essential component of learning activity. Paper presented at the 5th EARLI conference, Aixen provence.
  23.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ended sourcebook loaded, SAGE Publications.
  24. Nakhleh. M. B., & Krajcik, J. S. (1993). A protoco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echnology on students' action, verbal commentary and thought process during the performance of acid-base titr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9), 1149-1168. https://doi.org/10.1002/tea.3660300911
  25. Richmond, G., & Striley, J. (1996). Making meaning in classrooms: Social processes in small-group discour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 839-85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0)33:8<839::AID-TEA2>3.0.CO;2-X
  26. Shayer, M. and Adey, P. S. (1981). Towards a science of science teaching.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27. Spradly, J. P. (1979). The Ethnographic interview. Holt, Rinehart and Winston.

Cited by

  1. 세 가지 다른 중화적정 실험 방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산.염기 관련 개념의 이해 분석 vol.31, pp.6,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6.864
  2. The Development of a Free-response Test for the Assess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vol.40, pp.1,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2.40.1.167
  3. 중학생의 소집단 자유탐구활동 중 물리 영역 탐구문제의 구성과 변인 추출 및 명료화 과정 vol.32, pp.5, 201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903
  4.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and their Perceptions to Self-directed Field Research Activities vol.52, pp.3, 2010, https://doi.org/10.15812/ter.52.3.201312.351
  5. Development of pre-laboratory activities of hypothesis-testing experiments to enhance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vol.43, pp.3,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3.205
  6. Application of Pre-Laboratory Activities of Hypothesis-Testing Experiments toEnhance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vol.43, pp.4,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4.423
  7.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생 수준별 자유탐구 안내자료 개발 및 효과 vol.37, pp.3, 2010, https://doi.org/10.15267/keses.2018.37.3.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