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Experiment Illustrations and Error in Illustrations in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고등학교 화학I교과서 실험에 제시된 삽화와 삽화 속 '옥에 티' 분석

  • Received : 2009.09.09
  • Accepted : 2010.03.11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In this study, we have come to classify experiment illustrations inserted in chemistry I textbook according to types (photographs and pictures) and roles (instruments, reagents, process and results). Also, in the case of person in illustrations not following the safety rules or mishandling instruments in the experimental process, we have come to define it as an 'error'. The problem is that, students tend to accept these errors unquestioningly and as a result, during the experiments, safety concerns can arise. Besides, the mishandling of instruments can lead to the wrong result of experiments. These errors are thought to be caused in the process of making illustrations. Therefore, to minimize errors in the illustrations for the experiments, experts specializing in illustrations should participate in the actual experimental illustrations process.

과학교과서에 삽화는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가진다. 그 중 실험에 제시된 삽화는 학생들의 실험활동에 큰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오개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의 실험에 제시된 삽화를 종류에 따라 사진과 그림으로 나누고, 역할에 따라 실험준비(기구 및 시약), 실험과정, 실험결과제시로 나누어 실험과정을 나타낸 삽화 속에 옥에 티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과정에 제시된 삽화속 인물들이 실험실 안전수칙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있는 경우나 실험기구 조작법이 올바르지 못한 경우를 '옥에 티'로 정의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제시된 삽화의 종류는 사진이 주로 많았으며, 삽화는 실험과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대다수였다. 특히 실험과정을 제시한 삽화의 '옥에 티' 를 찾아보면 실험실 안전수칙 준수에서는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기구조작에서는 알코올램프와 스포이트 사용법이 바르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삽화 속 옥에 티는 학생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학습하게 되며, 실험 시 학생들의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고, 실험 기구의 조작이 올바르지 않아 결과에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옥에 티는 삽화의 제작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며 전문가가 참여하고 실제 실험을 통해서 삽화가 제작된다면 옥에 티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지희(2005). 과학교과서 삽화의 종류와 역할 분 석-중학 과학교과서(화학분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1998). 과학과 교육과정[별책9]. 대한교과서.
  3. 김대환(2002). 고등학교 화학 실험의 안전 교육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옥경(2005). 8학년 과학교과서 칼라화 및 탐구 제시형태 변화에 따른 수업효과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은영(2000). 유전개념에 과한 교과서 삽화의 분석-고등학교 생물 I 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희준 외 5인(2007). 화학 I. 천재교육.
  7. 대한화학회(1995). 표준일반화학실험. 천문각.
  8. 박시현, 우종옥(1994). 한일 국민학교 자연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58-69.
  9. 박차철, 김종현, 송승환, 신혜자(2000). 일반화학 실험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서대학교 화학공학연구실.
  10. 백미하(2004). 화학I 교과서의 물에 관한 오개념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백철민(2005). 초등학교 과학 공통 실험 기구 사용 능력 평가 기준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서정쌍 외 6인(2004). 화학 I. (주)금성출판사.
  13. 송호봉 외 6인(2003). 화학 I. 도서출판형설.
  14. 여상인 외 2인(2003). 화학 I. (주)지학사.
  15. 여수동 외 7인(2007). 화학 I. 청문각출판사.
  16. 우규환 외 5인(2002). 화학 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17. 우종옥, 정완호,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허명 (1992). 국민학교 자연 교과서 개발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109-128.
  18. 윤용 외 3인(2003). 화학 I. (주)교학사.
  19. 이덕환 외 7인(2002). 화학 I. 대한교과서(주).
  20. 이영미(200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 I 교과서 분석 :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욱 역(1995). 일반화학실험(Petrucci's 일반화 학의 실험서 번역). 대영사.
  22. 이정은(2005). 화학의 실험.실습에 대한 수행평가 개발 방안.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영숙(2005). 과학 탐구 평가표(SIEI)를 이용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의 탐구 활동 비교.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최영란, 이형철(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의 삽화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2), 45-53.
  25. 최행숙(1998). 초등과학 실험기구 조각평가를 위한 평가관점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Cited by

  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quations of the Contribution Degree on the Brain Compatibleness Index - Focused on ‘Structures and Functions of Cells' Unit in the 7th Grade Science Textbooks- vol.38, pp.4, 2010, https://doi.org/10.15717/bioedu.2010.38.4.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