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rrence and Variation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 in the Namdae Stream Estuary, Yangyang, Korea

양양 남대천 하구의 빈산소 수괴 출현과 변동

  • 권기영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 이용화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 심정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 이필용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Received : 2010.06.28
  • Accepted : 2010.08.11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occurrence and variation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 (ODW) in Namdae stream estuary, Yangyang were studied. Field observations for water properties and sediment environments were conducted at 5 stations of the estuary from April 2008 to November 2008. The coastal sandbar is developed at the estuary mouth, and there is a pool between the estuary mouth and about 2.3 km upstream of the estuary. The pool is relatively deep and narrow compared to riverbed of the estuary. The ODW was observed continuously in the pool from May to October. The ODW extends vertically up to 2 m depth in August, and maximum length of the ODW were about 2.3 km. Mean concentration of ignition loss (IL)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of sediment was 7.5~9.0%, $0.282{\sim}1.106\;mg/g{\cdot}dry$ wt, respectively. Ammonium concentration in the bottom layer during formation period of the halocline and the ODW was 4~23 times higher than that of surface layer. ODW was initiated by the introduction of seawater into bottom of the estuary pool to make a strong halocline, and then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within sediment accelerated the formation of the ODW.

본 조사는 양양 남대천 하구에서 발생하는 빈산소 수괴의 발생 시기 및 영역을 파악하고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는 원인을 추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2008년 4월부터 11월까지 6회에 걸쳐 하구 유역 5개 정점에서 수환경과 퇴적물환경을 조사하였다. 양양 남대천 하구입구에는 해안사주가 발달해 있으며, 하구입구로부터 2.3 km 상류부근까지 주변에 비해 수심이 깊고 폭이 좁은 소(pool)가 형성되어 있었다. 양양 남대천 하구에서 빈산소 수괴는 소를 중심으로 5월에 발생되어 10월까지 약 6개월간 지속적으로 출현하였다. 빈산소 수괴의 수직적 범위는 8월에 저층에서 수심 2 m까지 상승하였으며, 빈산소 수괴가 최대로 확장되는 수평적 범위는 하구입구로부터 2.3 km 부근 상류까지였다. 퇴적물의 강열감량은 평균 7.5~9.0%, 산 휘발성 황화물 농도는 평균 $0.282{\sim}1.106\;mg/g{\cdot}dry$ wt로 유기물의 함량이 높았으며, 염분성층과 빈산소 수괴가 형성된 시기에 저층의 암모니아 질소 농도는 표층에 비해 4~23배 높게 유지되었다. 양양 남대천 하구에서는 해수가 하구로 침투하여 수심이 깊은 소에 채워지면서 강한 염분약층이 형성되었고 소를 중심으로 퇴적된 다량의 유기물질에 의해서 저층의 산소가 소모되면서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동해해양환경연구

Supported by : 국립수산과학원

References

  1. 국립수산과학원, 2009. 한국연안의 빈산소 수괴, 173pp.
  2. 권기영, 김주경, 홍관의, 성기백, 이철호, 문창호, 2005. 남대천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과 영양염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38(1):55-64.
  3. 권대현, 강용주, 김완기, 이채성, 2002. 강원도 양양 남대천에서 채집된 일본재첩, Corbicula(Corbciula) japonica Prime의 수산자원학적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35(6): 686-695.
  4. 국토해양부, 2008. 국가 수자원관리종합정보 시스템. http://www.wamis.go.kr/
  5. 김동선, 김상우, 2003. 진동만의 빈산소 수괴 형성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2): 177-186.
  6. 김정배, 이상용, 유준, 최양호, 정창수, 이필용, 2006a.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4): 216-224.
  7. 김차겸, 이필용, 1994. 진해만의 수괴구조와 용존산소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7(5): 572-582.
  8. 김치홍, 이완옥, 홍관의, 이철호, 김종화, 2006b. 양양 남대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8(2): 112-118.
  9. 박준건, 김은수, 조성록, 김경태, 박용철, 2003. 시화호 수질의 연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Ocean and Polar Res., 25(4): 459-468. https://doi.org/10.4217/OPR.2003.25.4.459
  10. 박흥식, 강래선, 이재학, 2006.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우점종의 분포양상과 저서환경. 한국수산학회지, 39: 214-222.
  11. 윤상필, 김연정, 정래홍, 문창호, 홍석진, 이원찬, 박종수, 2008. 가막만의 2005년과 2006년 동계 저서환경 및 대형저서다모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3(1): 67-82.
  12. 윤이용, 김대현, 이승목, 1999. 강릉 남대천 하류의 정체현상과 강릉수력 발전방류수의 영향. 대한환경공학회지, 21(11): 2221-2230.
  13. 윤종성, 1998. 연안연에서의 저층 빈산소수의 용승현장(청조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7: 291-299.
  14. 이대인, 조현서, 이문옥, 2003. 진해만 서부해역의 하계 환경특성연구-수질 및 저질의 공간적 변동. 한국물환경학회지, 19(6): 723-730.
  15. 이인철, 오유진, 김헌태, 2008. 진해만 빈산소 수괴의 경년변동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41(2): 134-139.
  16. 이채성, 성기백, 이철호, 2007. 연어 방류사업의 역사와 현황.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3): 73-80.
  17. 이필용, 1993. 원문만에서 저산소 수괴의 출현과 계절적 변동. 한국수산학회지, 25(4): 392-400.
  18. 임현식, 박경양, 1998.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1. 저서환경. 한국수산학회지, 31(3): 330-342.
  19. 임현식, 홍재상, 1994.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1. 저서환경. 한국수산학회지, 27(2): 200-214.
  20. 정하영, 조경제, 2003. 낙동강 하류 수계에서 저질퇴적층의 SOD와 영양염 용출.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6(3): 322-335.
  21. 조현서, 조천래, 강조해, 이규형, 2006. 2004-2005년 광양만의 해양수질 및 저질의 계절적변동에 관한 연구. 2006년 해양환경안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요약집.
  22. 최정훈, 김미옥, 2001. 시화호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용존산소와 pH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2(3): 195-207.
  23. 최상덕, 김정균, 2002. 진해만 남서부 해역의 해수와 저질의 세균학적 및 이화학적 특징. 한국수산학회지, 35(6): 621-626.
  24.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pp. 42-189.
  25. 홍재상, 서인수, 이창근, 윤상필, 정래홍, 2000. 양양 남대천 하구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3(3): 230-237.
  26. Boers, P.C.M., 1991. The influence of pH on phosphate release from lake sediments. Wat. Res., 25: 309-311. https://doi.org/10.1016/0043-1354(91)90010-N
  27. Diaz, R.J. and R.Rosenberg, 1995. Marine benthic hypoxia: a review of its ecological effects and the behavioural responsis of benthic macrofauna. Oceangr. Mar. Biol. Ann. Rev., 33: 245-303.
  28. Diaz, R.J. and R. Rosenberg, 2008. Spreading dead zone and consequences for marine ecosystems. Science, 321: 926-929. https://doi.org/10.1126/science.1156401
  29.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J. Sediment. Pertol., 27: 3-26.
  30. Hanazato, T., 1997. Development of low-oxygen layer in lake and its effet on zooplankton communities. Korean. J. Limnol., 30: 506-511.
  31. Jansson, M., M. Enell, S. Fleischer, R. Gachter, P. Kelderlmann, S. Lofgren, G. Nurnberg, A. Provini and A. Sinke, 1988. Phosphorus release from sediments. Arch. Hydrobiol. Beih.(Eregebn Limnol.), 30: 90-93.
  32.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edited by Carver, R.E., Willey- Inter Science. pp. 49-67.
  33. Kang, C.K., P.Y. Lee, J.S. Park and P.J. Kim, 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6): 557-566.
  34. Karim, M.R., M. Sekine, T. Higuchi, T. Imai and M. Ukita, 2003. Simulation of Fish behavior and Mortality in hypoxic water in an enclosed bay. Ecological Modelling, 159: 27-42. https://doi.org/10.1016/S0304-3800(02)00282-X
  35.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gr. Mar. Biol. Ann. Rev., 16: 229-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