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A와 Tobit 모형을 이용한 대도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영향요인 분석

Analyzing the Influence Factors on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by DEA and Tobit Model

  • Lee, Sang-Su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ha University) ;
  • Han, Ha-Neul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ha University)
  • 투고 : 2010.03.08
  • 심사 : 2010.04.01
  • 발행 : 2010.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도시 소재 129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이러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효율성 평가의 경우 기술효율성의 비효율은 상대적으로 순수기술효율성의 비효율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향요인 분석의 경우에는 인구변수와 수도권 지역 더미변수가 도서관의 효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levels and influence factors on efficiency of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stage, the efficiency score analysis of 129 sample public libraries has been undertaken. In the second stage, the efficiency scores obtained from the first stage are regressed on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 (1) main source of technical inefficiency is pure technical inefficiency rather than scale inefficiency; (2) it is positive effect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efficiency that the population, the dummy variable of capital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영진. 1992. 대학도서관의 효율성 평가를 위한 DEA 적용.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경영논집, 8(1): 255-285.
  2. 곽영진. 1993. DEA를 이용한 대학도서관의 효율성추세분석.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경영논집, 9(1): 509-532.
  3. 곽영진. 1999.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충청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회계연구, 4(1): 151-176.
  4. 김선애. 2005. DEA를 이용한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 정보서비스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221-239. https://doi.org/10.4275/KSLIS.2005.39.1.221
  5. 김선애. 2007.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비교 분석-서울시 및 6대 광역시의 102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2): 237-256. https://doi.org/10.4275/KSLIS.2007.41.2.237
  6. 문경주. 2009. 공공도서관의 효율성 측정과 평가: 부산지역 21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2): 59-92.
  7. 문화관광부. 2007. 2007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서울: 문화관광부.
  8. 박춘광, 김병철. 2006. 금융위기 이후 국내 손해 보험회사의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분석. 재무관리연구, 23(2): 57-83.
  9. 양동현, 서원식, 박광훈. 1997. 3차 병원의 생산 효율성 측정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병원경영학회지, 2(1): 183-203.
  10. 이윤미, 유재균. 2009. DEA와 Tobit 모형을 이용한 철도산업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 한국철도학회논문집, 12(6): 1030-1036.
  11. 장철호. 2009. Clustering DEA/AHP 모형을 이용한 전국 공공도서관 효율성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491-514.
  12. 정호진, 임정덕, 강상묵. 2007. 서울시 영화업체 효율성과 결정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8(4): 15-30.
  13. 조성한, 박동진, 이길호, 윤동원. 2009. DEA를 이용한 국립대학도서관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253-279.
  14. 한두완, 홍봉영. 2002. DEA를 이용한 도서관의 효율성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276-286. https://doi.org/10.4275/KSLIS.2002.36.3.275
  15. 한하늘. 2009. DEA/Window를 이용한 국립대학도서관의 효율성 추세변화 분석. 정보관리연구, 40(3): 41-60. https://doi.org/10.1633/JIM.2009.40.3.041
  16. 함요상. 2007. 공공서비스 공급방식 전환의 논거-공공도서관서비스의 공급방식간 효율성 비교를 중심으로-. 2007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2007년 12월 7일. [용인: 강남대학교].
  17. 홍봉영, 김강정, 강은경. 2005. 비모수적 방법에 의한 도서관의 효율성 분석. 회계정보연구, 23(1): 117-132.
  18. Banker, R. D., A. Charnes, W. W. Cooper.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19. Byrnes, P., Fare, R., and Grosskopf, S. 1984. "Measuring produtive efficiency : An application to Illinois strip mines." Management Science, 30(6): 671-681. https://doi.org/10.1287/mnsc.30.6.671
  20. Charnes, A., W. Cooper, Rhodes, E. 1978. "Measuring the in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21. Hammond Christopher. 2002. "Efficiency in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 ; a data envelopment analysis of UK public library system." Applied Economics, 34(5): 649-657. https://doi.org/10.1080/00036840110053252
  22. James Tobin. 1958. "Estimation of Relationship for Limited Dependent Variables." Econometrica, 26(1): 24-36. https://doi.org/10.2307/1907382
  23. Vitaliano Donald F. 1998. "Assessing public library efficienc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on Economics, 69(1): 107-122. https://doi.org/10.1111/1467-8292.00075
  24. Worthington, A. 1999. "Performance indicators and efficiency measurement in public libraries." Australian Economic Review, 32(1999): 31-42. https://doi.org/10.1111/1467-8462.00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