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피난계단 부속실 제연설비의 방연풍속 기류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eatures of Air Egress Velocity in Vestibule Pressurization System

  • 류성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안전공학과) ;
  • 이수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안전공학과) ;
  • 홍대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
  • 윤명오 (서울시립대학교) ;
  • 최금란 (서울시립대학교) ;
  • 박재현 (서울시립대학교)
  • 투고 : 2010.07.30
  • 심사 : 2010.10.08
  • 발행 : 2010.10.31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고층건물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에 설치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방연 풍속 기류 가화재 발생 시 피난을 위하여 출입문이 개방되었을 경우 거실 방향으로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부속실 내부로 역류되는 현상을 개선하기위해 실 모형실험을 통해 출입구 상부로 역류하지 않는 조건을 개발하였다. 부속실 바닥 면적이 $2m^2$$4m^2$인 두개의 실물 모형을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방연풍속의 기류 특성은 바닥 면적이 $2m^2$인 경우 심하게 출입문 상부로 기류가 역류되었다. 다만, 급기댐퍼의 설치위치가 출입문 맞은편의 경우 날개각도가 45도 상향인 경우는 출입문 상부로는 역 기류 현상은 없었지만 하부로는 일부 역류 되었다. 부속실 면적이 $4m^2$ 인 경우는 출입문에서 거실방향으로 정상적인 기류 분포를 보였다. 부속실 바닥 면적이 작게 설계될 경우에는 성능위주 설계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fact that air egress velocity of pressure differential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vestibule of smokeproof stairway in domestic high-rise building becomes back-flow into the vestibule not into the livingroom when the doors open to escape in case of fire by actual measurement. It concerned that fire smoke inflow into the vestibule of smokeproof stairway. so, reflux symptoms were developing the condition does not occur by creating an area of $2m^2$ and a model. if it‘s area is less, airflow in upper area was severely reflux. in the case upward 45 gradient of supply damper’s angle of blade, The results that reflux symptoms include upper door but bottom has some reflux. also vestibule of smokeproof stairway‘s area of $4m^2$ in the living room door in the direction of the flow distributon was normal. if a vestibule of smokeproof stairway is smaller, it designed to be performance-based design should be.

키워드

참고문헌

  1. "피난.방화시설 불량으로 인한 대형인명피해 사례",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비상구 폐쇄신고포상제 도입 시행 보도자료(2010.07.12).
  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소방방재청고시 제2009-31호(2009.8.24).
  3. 건축물의 피난.방화 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 2항 3호 특별피난계단의 구조(국토해양부령 제238호).
  4. 공기조화설비의 시험조정평가(TAB) 기술기준 2005.10. 사단법인 대한설비공학회.
  5. 2006 제 3차 CPD교재, "급기가압 제연기술", (사)한국소방기술사회 pp.74-79(2006).
  6. "SFPE 방화공학 핸드북 II", 한국화재보험협회 pp.274-280(2005).
  7. 김정엽, 이동호, 김하영, "급기가압제연시스템의 피난문 개방시 방연풍속 형성특성에 대한 현장실험", 대한설비공학회 2008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63- 467(2008).
  8. 박재현, 진병래, "급기가압 제연기술", ENP 연구소(주), pp.83-100(2008).
  9.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국토해양부령 제205호(2009.12.31).
  10. "서울특별시 건축위원회 일반건축물 심의기준"(2009.8. 제정).
  11. "인명안전코드핸드북", 한국화재보험협회, pp.154-157(2001).
  12.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의 성능시험기술기준", 소방방재청고시 제 2009-31호(2009.8.24).
  13. 박재현, 진병래, "급기가압 제연기술", ENP 연구소(주), pp.461-597(2008).
  14. 한국산업규격, "KS A 0612 조임기구에 의한 유량 측정 방법"(1997.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