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 및 진화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Aerial Fire Line Construction and Suppression Method on Forest Fire

  • 배택훈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투고 : 2010.01.12
  • 심사 : 2010.10.08
  • 발행 : 2010.10.31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각종 소.중형 및 대형 산불의 공중진화 경험을 바탕으로 산불행태와 헬기의 현장운영을 고려한 산불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 및 진화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산불확산은 현장의 지세, 경사, 바람, 수종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공중진화 방화선을 구축할 때에는 연소방향 및 형태, 강도 등을 분석한 후 진화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며, 특히 연기로 인하여 시계가 방해 받으므로 안전을 고려해 진화작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현장 공중진화 경험을 바탕으로 A형에서 M형까지 13개의 산불 공중진화 방화선 구축형태 및 진화방법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attack process and aerial control line construction type which were considered forest fire type and a case of operations were suggested using the experience of aerial fire attack of all type of forest fires. As the spread rate of forest fire is effected by terrain, slope, wind speed, forest species and etc., we needed to analyze spreading direction, behavior type and intensity before heli-team constructed a aerial control line.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afety of attack team as a their views were obstructed.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13 methods from type A to type M about attack and construction of aerial indirect control lin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시영, 이명욱, "숲가꾸기 실행 및 미실행지의 임분 특성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1, No.4, pp.52-58(2007).
  2. 이시영외, "신고 산림보호학", 향문사, pp.34-61(2008).
  3. 이시영, 이해평, 박흥석, "산불화재공학", 동화기술, pp.220-231(2007).
  4. 배택훈, 이시영, "산불행태에 다른 물 살포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101(2009).
  5. 산림청 산림항공관리소, "공중진화대 교육.훈련 교범", pp.117-141(2001).
  6. 배택훈, "산불공중진화", 산림항공관리소, p.110(2002).
  7. 배택훈, "산불공중진화(ii) 매뉴얼/연구서", 산림 항공관리본부, p.52(2008).
  8. 이세형, "국내 헬리곱터 활용의 문제점과 대책", 헬리곱터 사고예방 국제심포지엄 발표자료, pp.31-55(2006).
  9. 최연철, "헬리곱터 사고사례와 안전관리", 헬리곱터 사고예방 국제심포지엄 발표자료, pp.73-96(2006).
  10. 이시영, 염육철, 이경재, "산불소화약제 항공산포 및 동력펌프 성능",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4, pp.104- 110(1992).
  11. 이시영, 염육철, 이경재, "산불연소 확대요인 및 소화 약제 항공산포",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8, pp.47- 57(1993).
  12. 김관수, "산불의 예방과 방지전략", 호서문화사, pp71-80(1997).
  13. 현신규 외, "삼림보호학", 향문사, pp.33-36(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