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Perceived Curve Radius Considering Visual Distortion at Curve Sections

곡선부 시각왜곡현상을 고려한 인지곡선반경 산정에 관한 연구

  • 신재만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손상호 (금광기업(주) SOC사업부) ;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5.17
  • Accepted : 2010.05.25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seriousness of a traffic accident appears relatively higher on the curve sections compared with the straight sections due to a change in speed caused by a change in the driver's sight. In particular, the visual distortion phenomenon, one of the dangerous factors taking place on the curve sections, appear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oad's geometric design. Although it is a genuinely principal design factor which sh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in designing a road, the previous researches on establishing the design standards for it have been insufficiently conducted. As a result, the establishment of the road design standards for the curve sections considering the sight distortion phenomenon is desperately required. This research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driver's behaviors, the driver's sight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ived curve radius on the curve sections, and developed the theoretical model of perceived curve radius to which a mathematical technique is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visual distortion phenomenon on the two-lane curve sections in a local area. In addition, after the theoretical visual distortion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model of perceived curve radius, the range of error on the theoretical recognition radius model formula was verified through comparing it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experiential visual distortion level and analyzing both of them.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as the curve radius practically increases in the theoretical recognition curve radius, the range of error tends to go down, which reflects we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ve sections on the road.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eliminate the safety defects when designing the curve sections and contribute to develop the road design standards considering human factors in the future.

도로 곡선부에서는 운전자의 시각변화로 인해 속도변화가 크게 발생하여 직선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고심각도가 크게 나타난다. 특히, 곡선부에서 발생하는 위험요소 중 하나인 시각왜곡현상은 도로 기하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실제 곡선부 시각왜곡현상은 도로설계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주요 설계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 설계기준 수립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시각왜곡현상을 고려한 곡선부 도로 설계기준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곡선부 운전자 행태와 운전자 시각특성 및 인지곡선반경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지방부 2차로 곡선부 시각왜곡현상을 고려하여 수학적 기법을 적용한 이론적 인지곡선반경 모형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론적 인지곡선반경 모형식을 토대로 이론적 시각왜곡도를 산출한 후, 기존 연구의 경험적 시각왜곡도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인지곡선반경 모형식의 오차범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이론적 인지곡선반경 모형식에서 실제 곡선반경이 증가할수록 오차범위가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나 실제 도로 곡선부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도로 곡선부 설계시 안전상의 결함을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도로 곡선부 위험요소를 최소화하고, 인간공학적 도로설계기준 개발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웅, 임채문(1991) 도로교통에 있어서 운전자 주시특성분석과 그 적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9권, 제2호, pp. 101-119.
  2. 김용석, 조원범, 정소영(2005) 도로 설계 일관성 평가를 위한 복합선형 구간 주행속도 조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675-4678.
  3. 노관섭(1997) 도로의 시선유도시설 형태에 따른 운전자의 시인성 분석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4. 박민철(2008) 곡선부 시각왜곡현상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5. 이상하(2004) 도로 시각왜곡현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6. 이수범, 김장욱, 권혁민(2005) 종단선형구간에서의 도로안전시설물 인지특성 모형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3호, pp. 73-84
  7. 이은경(2000) 고속도로 IC 램프 유출구간에서의 운전자 시각행태 특성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8. 장정화(2001) 국도 곡선구간에서의 운전자 시각행태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9. 하태준, 정준화, 이석기, 이정환(2009) 곡선부 시각왜곡현상 분석 및 설계기법 제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6D호, pp. 663-673.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9) 곡선부 시각왜곡현상 분석 및 설계기법 제시.
  11. Fitzpatrick, K., Krammes, R.A., and Fambro, D.B. (1997) Design speed, operating speed, and posted speed relationships,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Journal, ITE, Vol. 67, No. 2, pp. 52-59.
  12. Hassan, Y., Easa, S.M., and El Halim, A.O.Abd (1998) Design considerations for combined highway alignment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23, No. 1.
  13. Krammes, R.A., Brackett, R.Q., Shafer, M.A., Ottesen, J.L., Anderson, I.B., Fink, K.L., Collins, K.M., Pendleton, O.J., and Messer, C.J. (1995b) Horizontal Alignment Design Consistency for Rural Two-Lane Highway. FHWA-RD-94-034, FHWA, USDOT.
  14. Messer, C.J. (1979) Highway Geometric Design Consistency Related to Driver Expectancy(Vol II). FHWA-RD-79-35.
  15. Messer, C.J. (1981) Methodology for Evaluation Geometric Design Consistency. TRR 757.
  16. Yasser Hassan, Tarek Sayed, and Shaun Bidulka (2002) Influence of Vertical Approach to Illustrating Esthestic Concepts for Highway Design. TRR 1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