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석으로 인한 만 내 점착성 부유사 퇴적량 추정 : 수치해석

Estimating the Amounts of Long-term Cohesive Sediment Deposition in Two Tide-dominated Bays of South Korea: Numerical Study

  • 투고 : 2009.06.29
  • 심사 : 2009.12.29
  • 발행 : 2010.02.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석으로 인한 만에서 부유사 이동과 해저지형변화 예측에 대한 2차원 유사운송모형인 HSCTM-2D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보정된 모형을 이용하여 아산만 해역과 천수만 해역에서 점착성 부유사의 유입으로 인한 장기 퇴적량을 추정하였다. HSCTM-2D 모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대상해역에 위치한 검조소의 실측조위자료와 모의기간 동안 측정한 유속 및 부유사농도 자료를 모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실측자료와 모의결과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해역의 퇴적환경을 고려하여 외해유입 부유사 농도를 결정하고 장기간의 조석활동에 의한 점착성 부유사의 퇴적량을 추정하였으며, 아산만 해역에서는 연간 퇴적율이 8.1 cm/yr, 천수만 해역에서는 연간 퇴적율이 14.5 cm/yr를 나타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로부터 적용된 모델링 시스템이 해역의 점착성 부유사 이동 및 퇴적과정에 대한 이해와 완화대책수립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sediment transport modeling system, HSCTM-2D is employed to simulate the amounts of long-term cohesive sediment deposition in two study bays, and its applicability is evaluated. The modeling system's two modules for hydrodynamic modeling and sediment transport modeling are calibrated, comparing the simulated results and the observed tidal levels, tidal current velocities, an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the Asan and the Cheonsu Bays, South Korea. It is found that there are good agreements between the simulation results and the observed values. The amounts of long-term cohesive sediment deposition of the two study bays are estimated using the modeling system, taking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from the open ocean in the tide-dominated environment into account. And, in the case of the Asan Bay, the annual deposition rate reaches 8.1 cm/yr; the Cheonsu Bay, 14.5 cm/yr. Overall,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ing system is useful to understand the physical process of cohesiv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in tidal water bodies and to establish the mitigation strateg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수산과학원(2009) 한국해양환경조사자료 .
  2. 김재중, 김기철, 이정만(1995) 낙동강 하구에서의 부유사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한국해양공학회, 제9권, 제1호,pp. 120-131.
  3. 농업기반공사(2002) 방조제 축조 전후의 외측 해저지형변화 조사 분석 및 서남해안 간척실적 조사 연구.
  4.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1999) 방조제 축조후 연안의 해저지형과 퇴적환경 변화 연구(최종).
  5. 서승원(2004) 금강하구 퇴적변화 및 통행지장에 관한 후측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6권, 제4호, pp. 224-232.
  6. 소재귀, 정경태, 채장원(1998) 천수만 방조제 건설로 인한 조석 현상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0권, 제4호, pp. 151-164.
  7. 신범식, 김규한(2007)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갯벌의 수질정화능력 산정, 한국해양공학회지, 한국해양공학회, 제21권, 제2호,pp. 42-49.
  8. 안수한, 이상화(1990) 점착성 부유사의 이동에 관한 수치모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3권, 제1호, pp. 119-127.
  9. 이석우(1994) 한국항만수리지, 집문당.
  10. 정신택, 조홍연(1997) 인천해역개발에 따른 조석변화 및 오염물질 운송 예측,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9권, 제1호, pp. 1-8.
  11. 정태성, 김태식, 강시환(2004) 준설공사시 부유사 확산 예측시스템의 개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16권, 제1호, pp. 47-55.
  12. 한국해양연구소(1991) 부산 인공섬 건설에 따른 퇴적물 이동 연구(II).
  13. 황규남(2000) 새만금 갯벌퇴적물의 침강속도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2호, pp.277-286.
  14. 황보윤(2003) 이차원 유사운송모형을 이용한 해저지형변화 예측,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15. Baugh, J.V. and Littlewood, M.A. (2005) Development of a cohesive sediment transport model of the Thames Estuary, Proceedings of Estuarine and Costal Modeling 2005, pp. 824-841.
  16. Hayter, E.J. and Mehta, A.J. (1986) Modeling cohesive sediment transport in estuarine waters. Applied Mathematical Modeling, Vol. 10, pp. 294-303. https://doi.org/10.1016/0307-904X(86)90061-2
  17. Hayter, E.J. (1983) Prediction of cohesive sediment movement in estuarial water, Ph. D. Thesis, University of Florida.
  18. Martin, J.L. and McCutcheon, S.C. (1998) Hydrodynamics and transport for water quality modeling, CRC Press, Inc., Florida, USA.
  19. McAnally, W.H., Teeter A., Schoellhamer, D., Friedrichs, C., Hamilton, D., Hayter E., Shrestha, P., Rodriguez, H., Sheremet, A., and Kirby R. (2007) Management of fluid mud in estuaries, bays, and lakes-: Measurement, modeling, and management,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3, No. 1, pp. 23-38.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2007)133:1(23)
  20. Mehta, A.J. and Partheniades E. (1973) Depositional behavior of cohesive sediments, Technical report No. 16: Costal and oceanographic engineering Laboratory,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orida.
  21. Nicholson, J. and O'Connor, B.A. (1986) Cohesive sediment transport mode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12, No. 7, pp. 621-640.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6)112:7(621)
  22. Papanicolaou, A.N., Elhakeem M., Prakash, S., and Edinger, J. (2008) Sediment transport modeling review-current and future development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4, No. 1, pp. 1-14.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2008)134:1(1)
  23.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 (1995) HSCTM-2D, a finite element model for depth-averaged hydrodynamics, sediment and contaminant transport, Georgi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