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Wooden Coffin(木棺) and Chamber(木槨) Tombs in Gyeongju(慶州) and Sarokuk(斯盧國)

경주지역 목관·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 Lee, Ju Heun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09.07.29
  • Accepted : 2009.09.10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analysis of structure and development pattern about wooden coffin and chamber tombs in Gyeongju from the 2nd century B.C. to the 3rd century A.D. for researching to socio-political tendency and growth process of Sarokuk. Tombs buried with iron objects were built in Youngnam(嶺南) from the 2nd century B.C. with spread wooden coffin with stone mound(積石木棺墓). Also medium or small sized wooden coffin tombs buried with bronze mirror of western Han(前漢) and soft stoneware(瓦質土器) were appeared the 2nd century B.C. in Gyeongju, because of establishment of Han's commanderies(漢郡縣) in the Korean Peninsula and refuge from Daedong river(大同江) to Jinhan(辰韓). Separate tombs(獨立墓) with lots of bronze object ware assumed high ranked tombs of parsonage(司祭王) or local chief(地域首長). From the 2nd century A.D. the size of wooden coffin tombs became enlarged and funerary objects ware abundant, for example Sarari 130th tomb(舍羅里 130號). The burying pattern of this tomb is similar to wooden chamber tombs in Lelang(樂浪), which had prestige goods like lacquer ware and bronze mirror in wood box(木匣) beside coffin. Appearance of these wooden chamber tombs that were different from original wooden coffin tombs imply interaction between Lelang and these area with iron. Sarari community that held right of trade and distribution to outside through the geographical advantage grew up centered position in Gyeongju polit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Chamber in tomb as a new structural notion that can secure funerary objects became firmly was established from the 2nd century A.D. in Gyeongju and large sized wooden chamber tombs were generally built early of the 3rd century A.D. This tendency was reflected in stratification of community and growth as center of local state. After late of the 3rd century A.D. Gyeongju type wooden chamber tomb(慶州式木槨墓) which had subordinate outer coffin(副槨) was appeared and then subordinate outer coffin was as bigger as main chamber(主槨) the 4th century A.D., because of centralization and stratification in society and unification of various communities among the Gyeongju area.

본고는 경주지역에서 발굴된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3세기대까지의 목관묘와 목곽묘에 대한 구조분석과 그 변화양상을 추적하여 사로국의 정치, 사회적인 동향과 성장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한반도 서남부지역의 적석목관묘(積石木棺墓)가 기원전 2세기 후반 무렵 영남지방으로 파급되면서 경주지역에서도 철기가 부장된 군집묘(群集墓)가 조성되기 시작하며 이후 기원전 1세기 후반에는 한군현(漢郡縣)의 설치에 따라 대동강유역의 유이민이 진한(辰韓)으로 남하, 정착하면서 전한경(前漢鏡)과 와질토기(瓦質土器)가 부장된 중소형의 단순목관묘(單純木棺墓)가 경주지역에 등장하게 된다. 청동유물을 다량 부장한 독립묘(獨立墓)의 주인공은 군집묘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최상위 계층의 것으로 사제왕(司祭王)일 가능성이 높으며 경주의 각 곡간지역을 범위로 하는 지역집단의 수장묘(首長墓)로 추정된다. 기원후 2세기에 접어들면서 단순목관묘는 규모가 확대되고 부장유물의 종류와 양이 풍부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사라리 130호묘이다. 이것은 피장자의 주관 옆에 부장품을 넣은 목갑(木匣)을 설치하여 칠기(漆器)나 동경(銅鏡) 등의 위신재(威信財)를 부장한 것으로, 이와같은 구조는 평양을 중심으로 한 낙랑지역의 목곽묘에서 보이고 있다. 기존의 목관묘와 구조상에서 차이가 보이는 이러한 목관계목곽묘(木棺系木槨墓)의 출현은 변 진한의 철(鐵)을 매개로 한 낙랑과 이 지역과의 활발한 교섭관계를 대변해 주는 것이며 지리적으로 물류의 집산지 역할을 한 사라리 집단은 외부와의 유통과 교역을 장악하여 경주지역의 정치와 사회문화적인 거점으로서 위치한 것으로 보인다. 2세기 후반대 이후 정치체의 규모가 크게 성장한 경주지역의 분묘시설에는 부장유물의 안정적인 공간을 위한 곽(槨)이라는 개념이 정착하게 되었고, 소형묘와 입지상에 있어 차별성을 가진 대형의 장방형목곽묘가 3세기 전엽에 보편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지배집단 내 계층분화의 양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대형묘가 소재하는 지역이 소국의 중심지로써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후 이 지역 목곽묘의 평면구조가 점차 길어지는 경향은 묘곽 내에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결국, 3세기 후반대 부곽이라는 시설을 갖춘 경주식목곽묘(慶州式木槨墓: 동혈주부곽식목곽묘)의 등장을 가져온다. 소형의 부곽은 점차 길이가 길어져 4세기대에는 주곽의 크기에 이르는데, 이는 집단 내 계급의 분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권력의 집중화가 표면화된 것으로 경주와 주변지역 대소집단간의 통합이 진전되는 분위기 속에서 집단 내의 질서를 일원화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