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남해신사 기본계획에 따른 신당건축 고찰

A Study on the Basic Planning of the Nam-Hae Sin-Sa Architecture

  • 김상태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
  • 장헌덕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건축학과)
  • Kim, Sang Ta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Jang, Hun Duc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09.05.18
  • 심사 : 2009.06.23
  • 발행 : 2009.06.30

초록

2000년에 발굴된 영암 남해신사는 나라의 안녕과 구복을 위한 국가제사시설로 2001년 신당과 삼문을 복원하였다. 해신사는 바다의 용왕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남해신사와 동해묘, 그리고 서해신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해묘도 복원된 상태이다. 그러나 현재 복원된 남해신사의 신당과 삼문은 2000년 발굴도와 내용에 따른 완전한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고, 관련 문헌과 고지도 분석, 그리고 발굴내용의 심층분석과 아울러 관련 인물들의 인터뷰 내용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기본계획을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남해신사 추정 기본계획에 따른 신당건축 고찰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1. 남해신사는 국가에서 직접 운영한 국가 제사시설로 나라의 안녕과 기우를 지내는 악(嶽) 해(海) 독(瀆)을 대표하는 신당 건축이다. 특히 남해신사는 중국과 일본의 국제무역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지리산 제단과 함께 호남지방의 중심적인 신당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2. 해신사에 대한 명칭은 남해신사, 동해묘, 서해단으로 정의되어 불리었다. 그러나 남해신사의 경우 조선 초기와 후기의 명칭이 문헌과 고지도 연구를 통하여 남해신사에서 남해당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서해단의 경우 조선 초기에는 건축물이 없는 단으로 조성되었다가, 후기에 건축물이 조성된 사당형식으로 변하였음을 고지도 연구를 통하여 추정할 수 있었다. 3. 해신사에 대한 고지도 분석은 동해묘의 경우 맞배지붕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서해단과 남해신사의 경우 팔작지붕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4. 2000년 발굴내용에 의한 용척 분석결과 나타난 다양한 용척의 사용은 고려시대 남해신사의 규모가 대사(大祀)의 규모로 개창되었지만 조선시대에 중사(中祀)의 규모로 중창되었다는 기록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다. 즉 조선시대 중사로 중건하면서 용척의 척도로 조선시대 영조척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5. 상기의 연구결과에 따른 기본계획은 신당의 경우 팔작지붕의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3 : 2비율로 계획하였으며, 용두와 용미가 장식된 안초공, 내부의 운공과 파련대공 장식, 그리고 용두의 충량은 해신인 용왕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시설임을 표현하였다. 중문간채와 대문간채의 경우 향교건축과 같은 규모와 구성으로 계획하였는데, 발굴내용을 기초로 하였으며, 대문간채 솟을 문의 경우 3칸을 솟을 대문으로 올렸다. 이는 대문간채의 측칸이 맞배지붕의 형태이므로 그 비례와 형태의 조화를 고려하였다. 6. 남해신사의 기본계획은 계룡산 중악단의 사례와 같이 신당과 중문간채, 대문간채에 이르는 2가지의 공간, 즉 신당공간과 준비 공간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남해신사 서쪽에 위치한 우물은 신당건축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The Nam-Hae Sin-sa, the South Sea shrine in Yeong-Am, Korea was a national institution for public peace and bliss, was excavated in 2000, and the shrine and the 3-way-gate were reconstructed in 2001. Hae Sin-sa, the Sea shrine is a place for religious service separated into the Nam-Hae Sin-sa, the Dong-Hae Myo, and the Seo-Hae Dan. The Dong-Hae Myo was reconstructed, but restored shrine and 3-way-gate of the Nam-Hae Sin-sa is not perfect in comparison with excavation plan in 2000, therefore new reconstruction was research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the analysis of historical maps and excavation results, the interview with the concerned people and the case study. This research defines the analysis of the Plan of the Nam-Hae Sin-sa Reconstruction as follows. 1. The Nam-Hae Sin-sa was the institution for religious service operated by national direct management, represents the shrine for public peace and bliss on the Mountain, the Sea, and the River. Especially the Nam-Hae Sin-sa had an important position on the pivot of international trade with China and Japan, and had a role of main shrine with another one in the Mt. Ji-ri San. 2. The name of the Sea shrine was called as Nam-Hae Sin-sa(the South Sea shrine), Dong-Hae Myo(the East Sea shrine), Seo-Hae Dan(the West Sea shrine). But the name of the South Sea shrine had changed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 as Nam-Hae Sin-sa to the later Chosun as Nam-Hae Dang through the research of related literature and historical map. Such as the Seo-Hae Dan, it was constructed for the Dan, the flat raised-floor without buildings, and changed to the type of Sa-Dang with addition of buildings. 3. The historical map of Hae Sin-sa informs the types of the roof, the Mat-bae roof was used in the Dong-Hae Myo, but the Pal-jak roof was showed in the Seo-Hae Dan and the Nam-Hae Sin-sa. 4.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Yong-Ch'uck the unit length, Nam-Hae Sin-sa was reconstructed in the period of Koryo on large scale, but it was restored in the Chosun on middle scale. And the Unit of Yong Ch'uck was changed into Yeong-jo Ch'uck in the period of Chosun. 5. As the results, The Plan of the Nam-Hae Sin-sa Reconstruction designed the new shrine into the 3 Kan front and the 2 Kan side with 3:2 scale. An-ch'o-gong with Yong-du and Yong Mi the ornaments represents head and tail of dragon, the Un-gong and the ornament of Pa-ryun-dae-gong in the building, and the Ch'ung-ryang of the Yong-du show the image of the institution for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the sea who look like dragon. The inner gate building and the main entrance were designed as same plan and scale as Hyang-gyo, the Korean Traditional School and Shrine of Confucianism, on the basis of results of excavation. Raise the 3-tall gate of the main entrance with harmony of the scale and the shape, because the side of gate building has the Mat-bae roof. 6. This research shows that Plan of the Nam-Hae Sin-sa Reconstruction is composed into shrine space and reservation space from the main entrance to inner gate and shrine like Jung-ak Dan in the Mt. Gye-ryong San, and it also informs the well in the west side of Sin-sa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plan of shrine architec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