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Methodology for Chum-Sung-Dae Validation through the Present Configuration

첨성대 건립에 대한 시공방법론 첨성대의 얼개를 통한 논증

  • 김장훈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
  • 박상훈 (GS 건설(주) 플랜트 사업부 토건팀)
  • Received : 2009.05.18
  • Accepted : 2009.06.19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A new construction methodology has been proposed on a scientific basis to reason a rational explanation for the structure and the present configuration of Chum-Sung-Da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way to otherwise explain the gap between our expectation that the people in Shilla are assumed to be and the problems, such as the use of a temporary supporting structure including falsework, the use of a conveying device for stonework and the practice of soil fill, raised when the construction method in nowadays is applied to the structure. Furthermore, it is because the questions, such as the difference of an azimuth angle between the southward opening and the square podium, the skewed circular plan in layers of the body, misalignment between neighboring layers of the body, disagreement between the inclination due to slight sidesway and the eccentricity in each layer of the circular body, perfectly aligned vertical and horizontal joints and the existence of soil fill, raised from the present configuration of Chum-Sung-Dae, also require a reasonable explanation based on scientific evidences, if any. Therefore, the proposed new construction methodology, in which the soil hill outside as well as the soil fill inside the Chum-Sung-Dae may have been utilized as a temporary scaffolding system for construction, is the highly probable one that the builders of Chum-Sung-Dae might have inevitably employed. The existence of great tombs, scattered in Hwang-Nam-Dong close to Chum-Sung-Dae, implies that the people of Shilla might have accepted the proposed new construction methodology as a natural one.

첨성대의 구조와 현재의 모습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과학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첨성대 건립을 위한 새로운 시공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의 시공방법을 첨성대의 건립에 적용할 경우 가설구조물의 설치 및 운용, 돌을 나르기 위한 기중장비의 설치 및 운용 및 내부 채움 흙의 시공 등에 있어 해결하여야 할 문제와 첨성대 건립 당시 신라인들이 보유하였을 것으로 간주되는 장비 사이의 괴리를 달리 설명할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나아가 첨성대의 얼개 및 현재의 모습에 대하여 제기되는 기단과 남창구 사이 향(向)의 차이, 원통형 몸통의 일그러진 원형평면, 이웃하는 단 사이의 어긋남, 기울기와 일치하지 않는 각 단 편심의 분포, 외부 수평 수직 줄눈의 완벽한 정렬상태, 내부 채움 흙의 존재 이유 등 여러 가지 의문들에 대한 합리적이고도 과학적 근거가 있는 설명이 필요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제안된 새로운 시공방법론은 이 모든 문제와 의문들에 대한 명료한 답을 주고 있다. 따라서 제안된 새로운 시공방법론은 첨성대를 축조한 당시의 건축자가 필연적으로 채택하였을 수 밖에 없었던 시공방법에 가장 가까운 건립방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아울러 현재 첨성대 인근 황남동 일대에 산재하는 크고 작은 고분군의 존재는 이 논문에서 제안된 새로운 시공방법론을 첨성대 건립 당시의 신라인들이 자연스럽게 사용하였을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