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nagement Guidelines on the Large Old Trees as the Natural Monum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owing Environment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서울·인천·경기지역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관리방안

  • Received : 2008.12.01
  • Accepted : 2009.03.19
  • Published : 2009.05.29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rmulate management guidelines for Natural monumental old trees in Korea through survey of tree vigor and analysis of growing environments. A total of 20 old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with 4 items of species, ages and height of tre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were surveyed with 2 items of location types and surroundings. The root conditions were surveyed with 2 items of denudation and molding depth. The health conditions were surveyed with 5 items of withering rate, cavity size, bark breakaway rate, damages by blight and insects, and growing tips. The soil conditions were surveyed with 6 items of PH, organic contents, valid phosphoric acid, transposal cations(K, Ca) and soil compaction. On the basis of outcomes of these research items, mutual relations among locations, growings and soil conditions of old trees were analyzed by carring out cross tabulation, correlation,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Management guidelines were presented searching the factors effecting on the health of the monumental old trees. On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old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were Pinus bungeana(4 trees), Juniperus chinensis(3 trees), Ginkgo biloba(3 trees), Poncirus trifoliata(2 trees). Actinidia arguta, Wisteria floribunda, Thuja orientalis, Quercus mongolica, Sophora japonica, Fraxinus rhynchophylla, Zelkova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The tree height ranged from 4.2 to 39.2m, and root collar rounds ranged from 1.01 to 15.2m.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location types ; Gardens(4), historical sites(5), residental sections(3) open agricultural fields(3), mountain hills(3), and near ocean beaches(1) and stream site(1). The surroundings ; 75% denudation of roots, molded more than 10cm except 4 trees(25%). On the health conditions, 1)Withering rate ; Ginkgo biloba(20%) in Yongmoon temple, (5%) in Saki-ri, kanwha-gun, and others had no withering rate. 2) Cavity size ; all subject had $5{\sim}100cm^3$ of cavity. 3) Bark breakaway rate ; Pinus bungeana in Soosong-dong, in the shrine of Confucius, in Samchung-dong, especially high rate of cavity(5~50%) in Seoul area and in Saki-ri, Kangwha-gun were high 45% brakeaway rate. 4) Damages by blight and insects was slight due to managements. 5Growing tips ; In cases of Juniperus chinensis in Changdeok palace and SunnogDang, seoul, growing tips were 1/2, presumably cause by air pollution, and in cases of Fraxinus rhynchophylla in Paju city and Pinus densiflora in BacksaDorip-ri, Icheon city, growing tips were fine, presumably because there were no moldings. On the Soil conditions, Soil pH ranged from 5.2 to 8.3, organic matter contents from 12% to 56%, phosphorus contents from 104 to 618ppm, soil compaction ranged from 7 to 28mm( among them, Denudation was severe with 21~28mm soil compactions in cases of Pinus bungeana in Soosong -dong, Thuja orientalis in Samchung -dong, Ginkgo biloba in the shrine of Confucius and in Yongmoon temple.) Results of cross tabulati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olding depth was the most serious factor to deteriorate the tree vigor and cambium conductivity. In addition, soil acidity, organic matter contents, disease and insect damages and cambial detachment were also related to the tree vigor. Additional research of these relationships will be needed to conduct more detailed studies.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ree vigor and growing environments, it is considered that old trees should be managed to give them more growing spaces and less abuses. Also, molded soils should be removed and further soil-molding around the tree collar should be prohibited. For the construction of systematic management and removal of harmful factors, appropriative management according to spices, persistent monitering of damaged cases and construction of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accumulation of data on the relationships of soil conditions are required.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거수의 생육환경의 악화 및 훼손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생육환경을 분석함으로서 과학적인 보호관리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20주를 대상으로 개체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생물학적 특성은 수종명, 수령, 수고, 근원둘레 4개항목을 조사하고, 입지현황은 입지유형, 입지환경의 2개 항목, 근원부 성상은 나지화, 복토깊이의 2개 항목, 건강도는 고사지율, 공동크기, 수피이탈율, 병충해, 신초생장의 5개 항목, 토양환경은 토양 pH,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치환성양이온(K, Ca), 토양경도의 6개 항목으로 설정되었다. 이와 같은 조사항목별 현황조사 결과를 토대로 노거수의 입지현황과 생육환경 및 토양환경과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노거수의 건강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인자를 구명하고, 이에 따른 과학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항목별 현장조사 결과 생물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천연기념물 노거수는 백송(4주), 은행나무(3주), 향나무(3주), 다래, 등나무, 측백나무, 굴참나무, 탱자나무(2주), 회화나무,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소나무로 12종로 분포하였으며, 수고는 4.2~39.2m, 근원둘레 1.01~15.2m이었다. 입지현황은 건물내부형(4주), 유적지형(5주), 주택지형, 들판형, 동산형이 각 3주, 하천 및 해변형이 각 1주로 구분되었으며, 생육환경의 나지화 정도에 있어서는 조사지역 중 75%가 나지화가 진행된 상태이며, 복토깊이는 복토되지 않은 지역 4주(25%)를 제외하고 10cm 이상 복토가 이루어졌다. 건강도에 있어서 첫째, 고사지율은 용문사 은행나무 20%, 강화군 사기리 탱자나무 5%였으며, 그 외 지역은 관리가 이루어져 고사지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이었다. 둘째, 공동크기에 있어서는 전 조사지역에서 $5{\sim}100cm^3$로 공동이 발생하였으며, 셋째, 수피이탈율에 있어서는 5~50%로서 공동발생이 높은 서울지역의 수송동 백송 및 문묘의 백송, 삼청동 등나무, 강화군 사기리 탱자나무가 45%로 높은 수피이탈율을 나타내었다. 넷째, 병해충의 피해는 인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경미한 상태이었으며, 다섯째, 신초생장에 있어서 창덕궁, 선농당 향나무의 신초생장이 1/2로서 주변 대기오염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파주 적성면의 물푸레나무, 이천 백사 도립리의 소나무는 신초의 생장상태가 양호하여 근원부 복토가 되지 않아 신초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토양환경에 있어서 토양 pH 5.2~8.3, 유기물함량 및 유효인산이 각각 12~56%, 104~618ppm으로서 토양의 시비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토양경도에 있어서는 7~28mm이었으며, 조사대상 중 수송동의 백송, 삼청동의 측백나무, 문묘 은행나무, 용문사 은행나무 지역은 토양경도 21~28mm로 나지화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복토깊이가 수목의 생육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세부적인 자료구축을 통한 상관관계성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거수의 주변환경으로 건물, 시설지의 제한적인 관리 및 규제 등을 통한 인위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노거수의 양호한 생육을 위한 복토제거 등 근권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와 같은 노거수 환경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동일 수종별 객관적인 비교, 분석을 통한 적정한 생육환경 조성 방안의 구축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생육의 피해현상 및 토양환경과의 지속적인 데이터축적을 통하여 관리 시스템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