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sect Fauna Status of Nature Reserve Areas in Korea

국내 천연보호구역의 곤충상 현황

  • An, Seung Lak (Natural History Division, National Science Museum)
  • 안승락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연구실)
  • Received : 2008.12.01
  • Accepted : 2009.03.20
  • Published : 2009.05.29

Abstract

This research is insect diversity analysis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s and bibliographies of Hongdo Island, Mts. Seoraksan, Hallasan, Daeamsan & Daeusan, Hyangnobong peak & Geonbongsan nature reserves and Dokdo Protected Natural Area among 10 designated nature reserves. The Mt. Hallasan nature reserve has 1,867 species in 22 orders and shows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The species diversities of Mt. Seoraksan, Mt. Hyangnobong peak & Geonbongsan, Hongdo Island, Mt. Daeamsan & Daeusan, and Dokdo Protected Natural Area reveal 1,604 species in 19 orders, 704 species in 18 orders, 474 species in 19 orders, 468 species in 16 orders, and 114 species in 11 orders, respectively, in descending order. The order Lepidoptera shows as dominant taxa in Hongdo, Seoraksan, Hallasan, Hyangnobong peak & Geonbongsan, whereas the order Coleoptera as subdominant taxa in these areas. On the other hand, in Mt. Daeamsan & Daeusan, and Dokdo Protected Natural Area, the order Coleoptera appears as dominant taxa whereas the order Lepidoptera as subdominant taxa. The order Ephemeroptera has been shown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in Seoraksan which is reported to 25 species, Odonata in Hallasan to 28, Dermaptera in Seoraksan to 9, Orthoptera in Hallasan to 51, Hemiptera in Hallasan to 175, Homoptera in Seoraksan to 126, Hymenoptera in Hallasan to 183, and Diptera in Hallasan to 206. The species diversity is generally poor in Daeamsan & Daeusan, Hyangnobong peak & Geonbongsan, and Dokdo Protected Natural Area. Maybe this result is caused by the lack of various academic surveys compared to the other areas. It is needed to study systematic academic investigation on insect in the nature reserve areas in Korea, and to plan appropriat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n natural environment considering biodiversity of each nature reserve area.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10개 천연보호구역 가운데 홍도, 설악산, 한라산, 대암산 대우산, 향로봉 건봉산 및 독도천연보호구역에 대해 조사 및 문헌을 토대로 서식 곤충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이 22목 1,867종으로 종다양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설악산천연보호구역으로 19목 1,604종, 향로봉 건봉산천연보호구역이 18목 704종, 홍도천연보호구역 19목 474종, 대암산 대우산천연보호구역이 16목 468종, 독도천연보호구역 11목 114종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천연보호구역에서 출현한 곤충목들 가운데 나비목은 홍도, 설악산, 한라선, 향로봉 건봉산 등 4개 천연보호구역에서 우점분류군으로 나타났고 딱정벌레목은 아우점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대암산 대우산천연보호구역과 독도천연보호구역에서는 반대로 딱정벌레목이 우점분류군, 나비목이 아우점부류군으로 출현하였다. 나머지 주요 목들의 출현 양상을 각 지역별로 비교하면 하루살이목은 25종이 출현한 설악산천연보호구역, 잠자리목은 28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집게벌레목은 9종이 출현한 설악산천연보호구역, 메뚜기목은 51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노린재목은 175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매미목은 126종이 출현한 설악산천연보호구역, 벌목은 183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파리목은 206종이 출현한 한라산천연보호구역에서 각각 가장 높은 종다양성을 보여주었다. 이들 가운데 천연보호구역별 학술조사 규모 및 횟수의 차이는 있으나 향로봉 건봉산천연보호구역, 대암산 대우산천연보호구역 및 독도천연보호구역에서 곤충상이 빈약하게 나타난 것은 다른 원인도 있지만 다양한 종합조사 부족에 따른 결과가 가장 큰 것으로 사료된다. 더구나 성산일출봉천연보호구역, 문섬 범섬천연보호구역, 차귀도천연보호구역, 마라도 천연보호구역들은 지정당시 조사는 물론, 지정 후 지금까지 육상곤충에 대한 종합학술조사가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 대한 곤충상 학술조사가 시급히 필요하며, 이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관리 및 보전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