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erspective of hermit of Ji-kang's letter to Shan Ju-yuan in breaking off relations

「여산거원절교서(與山居源絶交書)」에 드러난 혜강(?康)의 은일관(隱逸觀)

  • Received : 2009.02.12
  • Accepted : 2009.03.07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According to the estimations in historical books and research achievements which have been produced, Ji-kang was a prominent Taoist in the Wei-Jin dynasty. But some philosophers, on their opinions, regard Ji-kang as a scholar who withdrawal from ordinary life in the real society. In this sens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Ji-kang's perspective of the life in seclusion, in particular, by analysing the letter to Shan Ju-yuan in breaking off relations與山居源絶交書.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Ji-kang's the ideal of life, by discussing the reaction to the realistic society, the reflection on the confused society and the change into the new ideal of life of Ji-kang. Ji-kang's the ideal of life in the letter to Shan Ju-yuan in breaking off relations與山居源絶交書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he has pursued to participate in the real society by passive and immediate way, but he realized how difficult his ideal comes true. Thus, he seek the new ideal of life, hermit. Second, according to the view of hermit in the ancient Chinese tradition, his view of hermit implicates the change in his ideological tendency from the hermit of Confucianism and Taoism to the hermit of Taoism. Third, he tried whatever methods that were passive and seclusive to participate in the real society, but he isn't a common idealist. In this way, Ji-kang applied these thought of the social life and the ideal of life to the philosophy of living.

현재까지 전해지는 사서(史書)의 평가와 연구 성과에 따르면, 혜강은 위진(魏晋)시기에 한 획을 그은 걸출한 학자이다. 다만 현재 몇몇 연구자들은 혜강이 현실에서 벗어나 사회제도를 부정한 피세주의자로 평가한다. 논자는 바로 이러한 관점이 혜강의 철학을 이해하는 올바른 이해방식인가에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것은 혜강이 꿈꾸었던 이상과 현실적 삶의 모습이고, 논의는 그가 산도(山濤)에게 보낸 절교서인 "여산거원절교서(與山居源絶交書)"를 중심으로 전개한다. 이를 통해 혜강이 현실사회에 대한 기본적 반응 양식, 혼란한 현실에 대한 반성 및 새로운 이상으로의 전환이라는 구도를 통해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인생의 궁극적인 이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여산거원절교서(與山居源絶交書)"에 드러난 혜강의 인생이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혜강은 본래 소극적이며 직접적인 현실참여를 꿈꾸었지만, 현실에서의 실현불가능을 직시하고 '은일(隱逸)'이라는 새로운 인생이상을 모색한다. 둘째, 중국의 전통적 은일관(隱逸觀)에 따르자면, 혜강은 유도(儒道)은일관에 대한 양가적 입장에서 도가(道家)은일관으로의 전환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혜강은 소극적이고 피세적 방식으로 현실의 갖가지 문제에 접근했지, 결코 현실을 저버린 이상주의자는 아니다. 이와 같은 현실사회에 대한 이해와 인생이상은 그의 철학체계에 일관되게 적용되는 전제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