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향촌사회와 유교공동체 - 순암 안정복을 중심으로 -

Ahn Jeong-Bok's idea of country village community

  • 김보경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 투고 : 2009.06.05
  • 심사 : 2009.06.24
  • 발행 : 2009.06.30

초록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1712~1791)은 역사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향촌사회(鄕村社會) 전문가이기도 했다. 그는 중앙 정치권력에서 소외된 남인계(南人系) 학자였다. 유년과 청년시절 향촌 각처를 전전했고, 20대 중반 광주(廣州) 덕곡(德谷)에 정착한 뒤로는 관직 때문에 잠시 나간 것을 제외하고는 줄곧 이곳에 머물며 수양과 저술에 전념했다. 60대 후반 목천(木川) 현감(縣監)을 마지막으로 실직(實職)에서 물러났다. 이러한 불우한 환경은 그의 학문적 관심과 정치적 시선을 형이상학(形而上學)이 아닌 '형이하학(形而下學)'으로, 중앙이 아닌 '향촌'으로 향하게 했다. 그는 향촌을 가(家)와 국(國)을 매개하는 연결고리로 파악하고, 향촌을 기반으로 하여 인간의 기본 윤리와 일상생활에서의 예(禮)의 실천을 강조하는 유교공동체를 구상했다. 먼저, 그가 구상한 유교공동체는 향촌을 단위로 하는 지역공동체이다. 그는 향촌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화(敎化)를 최우선의 과제로 삼고, 향약(鄕約)을 그 방안으로 제시했다. 자신의 향리에 동약(洞約)을 실시했고, 목천 현감 시절에는 향약(鄕約)을 시행했다. 이것은 사대부 중심의 향촌질서를 재구축하고자 한 의도로 파악된다. 그러나 이 향약은 상하(上下) 동참의 형태를 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민심(民心)에 대한 순응과 사대부의 솔선수범을 강조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윤리의 실천을 통해 구성원 간의 조화와 질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지역공동체적인 성격을 지닌다. 한편, 그는 향촌의 학문공동체를 기획했다. 그는 학교 진흥을 교화의 급선무로 인식하고, 서재(書齋)를 중심으로 향촌 자제들과 강학 활동을 전개했다. 여택재(麗澤齎)라는 서재(書齋)를 설치하여 "소학(小學)"을 강독했고, 70대 후반에는 "여씨향약(呂氏鄕約)"을 표준으로 하고 일상의 윤리와 독서법을 덧붙인 학약(學約)을 마련하여 시행했다. 이 학약은 뒤에 전라남도 나주의 미천서원(眉泉書院)에 적용되었다. 이는 강학과 명도(明道)의 중시, 독서와 실천의 일치를 강조하는 그의 학문관과 학문공동체 기획의 사회적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판단된다.

A well-known historian, Ahn Jeong-Bok(Sun-Am, 1712~1791) was an expert on the country village community. He was a scholar of the "Nam-In" group, who was excluded from the corridors of power in those days. He kept on the move in various parts of country villages from his childhood. After settling down in Deok-Gok, Kwang-Ju, he stayed in the place devoting himself to the self-culture and the literary works. By his surrounding of environment, he had an academic interest in a concrete science rather than metaphysics and country villages rather than the central city. He considered the country villages as the link holding between a family and a country and had the conception of a confucianist community based on country villages, emphasizing the practice of confucianist virtues in everyday life. First of all, his confucianist community was the community based on country villages. He thought that the enlightenment wa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for solving problems in country villages. As a solution to those problems, he suggested Hyang-Yak, the self-governed regulations of country villages. In his own village he made the self-governed rules Dong-Yak. When he was a provincial governer of Mok-Cheon, he put Hyang-Yak, the self-governed regulations of country villages in operation. It aimed for a kind of gentry-centric country village community. But Hyang-Yak was the regulations based on the agreement with each other, stressed the regard on the popular mind and the setting the pace of the gentry, and aimed for the harmony and order in a community through the practice of moral virtues in daily life. On the other hand, he had a conception of a country village's academic community. He thought of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intuitions as a pressing need of the enlightenment of country village. With young people he read confucianist books with comments in a village school, Seo-Jae. In his seventies, he made and put the self-regulations for academic community, Hak-Yak, in operations. It is considered that Hak-Yak was an example of his idea of academic community and his point of view on learning, which emphasized on the coincidence with reading and practic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