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ssence of Ye and its usualness - With focus on Shirak's feature of Yulkok's Yegyo

예(禮)의 본질(本質)과 일상성(日常性) - 율곡(栗谷) 예교(禮敎)의 실학적(實學的) 성격(性格)과 일상성(日常性)을 중심으로 -

  • 이행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Received : 2009.06.02
  • Accepted : 2009.06.24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Confucianism's concept of Ye is ruled by the absolute principle of the universe on one hand, and by "the rules of Ye(節文)" and "the rules of ceremony(儀則)", the principle of relative artic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alizations of the absolute principle of Ye is depending on its usage in everyday life which is fundamentally conditioned by time and space. Thus, Ye's usage can be maximized when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the condition of its usage make a mutual harmony. Of course, Ye and Ak(樂) are doing complementary roles for each other, since Ye is a principle of a division and Ak is a principle of combining features. However, the essence of Ye can be figured out as the characteristics of mutual reciprocity among things of hierarchy between the classes. Not only in Modern one But also in the medieval society, Ye was not a one-sided force. The essence of Ye does not retain the interests of an individual and the power of a group. If so, the formal aspects of Ye had been distorted. Confucianism demands a strict morality and ethics of a normal person as well as of the ruler. The characteristics of Ye is democratic and open to the condition of time and space. Yegyo should be rooted in everyday lives and realized as a usualness. Therefore, Shirak was an inevitable feature of Yegyo. During the 16th and the 17th century, Ye insinuated into everyday lives of the public in the Korean society. Yulgok Yiyi(李珥)'s Haejuhyangyak(海州鄕約) was estimated as the exemplary feature of Shirak.

유학 특히 주자 성리학의 예(禮)는 절대적 보편적 이치로서 천이(天理)와 상대적 관계적 규범 형식으로서 절문(節文)과 의칙(儀則)으로 개념 규정된다. 예의 본질은 이렇게 두 가지 의미로 구분되는데, 절대성과 상대성이 중층적으로 혼합되어 있지만 단순한 양가성(兩價性)으로 해석되어서는 곤란하다. 예가 발현되는 과정에는 천리(天理)와 인성(人性)이라는 본질 외에 시간(時間)과 공간(空間)이라는 일상성(日常性)이 매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자가 서로 조화를 이루었을 때 예(禮)의 현실적 효용이 극대화될 수 있다. 물론 예(禮)는 구분의 원리이고, 악(樂)은 조화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호보완적 역할을 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그러나 예의 본질은 신분, 계급, 귀천 등 현실적 차이 속에서도 쌍무호혜적(雙務互惠的) 성격을 특징으로 한다. 유학은 일반인은 물론 최고 통치자에게도 엄격한 도덕성과 윤리를 요구하며 이를 상실한 인군(人君)은 일개 필부(匹夫)에 불과한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제정하는 주체가 통치자가 아니라 성인(聖人)인 것도 동일한 맥락에서이다. 예의 현실적 효용은 '예교(禮敎)'를 실현하는 것이다. 예교는 예의 본질과 일상성이 발현되는 개인적 사회적 정치적 기제이다. 구득된 인간 본성의 발현, 주체와 타자의 소통을 매개하는 문화의 형성, 윤리 도덕적 규범에 기초한 정치행위 등이 활발한 사회가 예교가 지향하는 유교적 공동체의 본모습이다. 유교적 공동체의 원리로서 예교의 특징을 민본성(民本性)과 시의성(時宜性)을 중심으로 고찰한 이유는 예의 본질이 구현되는 일상성(日常性)의 측면에 착안한 것이다. 이는 유교가 지닌 본원적 특질인 동시에 천리(天理)와 인성(人性) 자체에 대한 원리적 탐구에 머물지 않고 인정(人情)과 시속(時俗)이라는 현실을 실천의 장으로 고민하는 실학적(實學的) 성격인 것이다. 16, 7세기를 거치며 조선사회에서는 예의 일상화(日常化)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데, 세종조 이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가 지속적으로 보급되어 도덕수신서(道德修身書)로 활용되었고 도덕성과 호혜성에 기반한 향촌자치규약인 향약(鄕約)이 보급 시행되었다. 율곡 이이는 중국의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전범으로 하여 해주향약(海州鄕約)을 완성하였는데, 예교의 본질을 일상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실학적 특성으로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