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강우침투에 따른 화강풍화토 사면의 얕은파괴 특성

Shallow Failure Characteristics of Weathered Granite Soil Slope in accordance with the Rainfall Infiltration

  • 김선학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 Kim, Sun-Hak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발행 : 2009.10.31

초록

본 연구는 화강풍화토로 구성된 절토사면에서 얕은파괴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에 따른 한계투수계수를 산정하고, 국내에 분포하는 화강풍화토의 대표적 물성을 기준으로 절토사면의 파괴면까지의 수평거리, 사면의 경사각, 사면높이 그리고 강우로 인한 포화깊이 등에 따른 안정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계투수계수를 분석한 결과 국내의 지역별 강우특성을 고려한 최대 한계투수계수가 $7.16{\times}10^{-4}cm/sec$의 값으로 나타났다. 최대 한계투수계수 이하의 값을 갖는 국내의 화강풍화토로 구성된 절토사면에서 한계강우강도 이하의 강우가 최소 강우지속시간보다 오랫동안 지속될 때에는 포화깊이에 따른 얕은파괴의 검토가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가상파괴면이 발생하는 수평거리, 포화깊이, 강도정수 변화에 따른 사면안전율의 변화관계를 통해 절토사면의 얕은파괴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shallow failure in cut slopes composed of weathered granite soil, this study calculated critical permeability coefficient according to rainfall characteristic in Korea, performed stabil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ve physical properties of weathered granite soil distributed in Korea such as horizontal distance to the failure surface of cut slope, slope inclination, slope height, and the depth of wetting by rainfall, and analyzed the result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critical permeability coefficient, when the local rainfall characteristic was considered, the maximum critical permeability coefficient was $7.16{\times}10^{-4}cm/sec$. We judged that shallow failure according to wetting depth should be considered when rainfall below the critical rainfall intensity lasts longer than the minimum rainfall duration in cut slopes composed of weathered granite soil, which had a critical permeability coefficient lower than the maximum critical permeability coefficient. Furthermore, using simulated failure surface, this study c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shallow failure in cut slopes based on the change in slope safety factor according to horizontal distance, wetting depth, and strength parameter.

키워드

참고문헌

  1.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사면붕괴 방지대책 제도화를 위한 기본 방안 연구", 동인문화사, 2000.
  2. 한중근, "억지말뚝을 이용한 사면의 안정해석 및 설계",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997.
  3. 심태섭.김선학.기완서.주승완, "강우에 따른 화강암질 풍화토 사면의 전단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공학회지, 제14권, 제4호, pp. 349-360, 2004.
  4. 이광모.심태섭.김선학.최용준, "강우강도에 따른 무한사면의 간극수압 변화의 특성",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pp. 4442-4445, 2005.
  5. 허준행.김경덕.한정훈, "지속기간별 강우자료의 적정분포형 선정을 통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2권, 제3호, pp. 247-254, 1999.
  6. 김재홍.박성완.정상섬, "강우로 인한 불포화 풍화토의 침투깊이 해석",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pp. 63-66, 2002.
  7. Pradel, D. and Raad, G., "Effect of permeability on surficial stability of homogeneous slope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 119, No. 2, pp. 315-332, 1993. https://doi.org/10.1061/(ASCE)0733-9410(1993)119:2(315)
  8. SLOPE/W User's Guide, GEO-SLOPE International Ltd,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