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Different Ideas of Rural Housing Environmental Results : - Focused on Opinion of Public Officials and Inhabitants in Cheongwon-gun -

농어촌주거환경개선사업의 시행결과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 - 청원군 공무원과 주민의 의견을 토대로 -

  • Ko, Hye-Jin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Geun-Bok (Dept. of Architecture, Cheongwon-gun) ;
  • Hwang, Hee-Yun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rural housing environment through evaluation of the two parties, public officials, the interest group and residents, the beneficiaries surveying general understanding and measuring difference in understanding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residents. Through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is study was to propose effective promotion method and desirable direction of rural housing environment. For progress hereafter, by seeking active involvement of residents, this study proposed possible renewal plan of residential environment. Process of this study was first, research documents to examine several rural housing environment related promotions, and several analysis techniques lik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ed to understand different ideas Opinion of Public Officials and Inhabitants. Then take surveys of residents living in renewal zone, and surveys of public officials of borough, which already performed renewal projects to evaluate comprehensively as either residents' or administrators' view.

Keywords

References

  1. 경상북도, 2007, 경상북도 농어촌 주거환경개선사업 30년사
  2. 권병채, 2000, 농촌주거환경개선사업에 따른 주택환경의 변화,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3. 김상범, 조순재, 강방훈, 김혜민, 2003, 농촌주거환경개선사업에 따른 농촌주거환경실태와 주민만족도,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3), 9-16
  4. 김정호 외 4 인, 2001, 21 세기 농업·농촌 정비의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2005,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연구
  6. 박시현,박병오,1997, 농촌생활환경 정비정책의 효율적 추진방안,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박시현,박주영,2003,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추진방향과 사업화 방안,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박윤호, 2002, 농촌마을 정비사업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농업기반공사농어촌연구원, 농어촌과환경12(3), 57-68
  9. 박재덕, 2006, 생태관광지 개발에 관한 개발주체와지역주민간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찬수, 1994, 농촌주거환경 개선사업의 추진방향과과제, 대구경북포럼
  11. 아이앤펌(주),2008,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시행 효과 분석,한국농어촌공사
  12. 안성기,2000, 농촌주거환경사업의 분석 및 개선방안,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오영균, 2006, 지방정부 자체평가에서의 주민만족도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 지방행정학회 논문집,20(3), 3-20
  14. 이병진,2006, 농촌생활환경 정비사업의 발전방안,밀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우환,장철수,손철호,2002,산촌개발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최수명, 황한철, 한경수, 조영재, 2001, 마을평가를 위한 설문작업치리 시스댐 개발 및 적용, 한국농촌계획학회지, 7(1), 49-59
  17. 최용석,정광모, 2006, 다변량 분석기법과 웅용, 자유아카데미
  18. 한경수, 2006, 농촌마을종합개발계획 평가 지표 개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마을종합개발 워크숍
  19. 한경수, 김기현, 전택기, 염대호, 최윤상, 2007, 농촌 마을종합개발사업 중간 점검을 위한 평가지표 적용 사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121-132
  20. 한국농어촌공사,아이 앤펌, 2008,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시행 효과분석
  21. 한국농촌공사,2006,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연구,농림부
  22. 한국농촌공사,농어촌연구원,2006, 농촌 주택사업추진방안 연구
  23. 한기준, 조용훈, 2006, 2001 년 안성시 농촌주거환경 개선사업에 의해 신축개량된 농촌주택의 건축적 성격 빛 이용자의 요구사항 분석,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7), 71-78
  24. 황한철, 2007, 농촌개발사업의 추진실적 평가항목선정 및 가중치 산정에 관한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1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