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Aspects and Meaning of Existence of the Silent Puppets

무언인형의 연행양상과 존재의미

  • 허용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단)
  • Received : 2008.12.28
  • Accepted : 2009.01.28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paper pay attention to silent puppets which appear in the traditional puppet performance. Not only movement of silent puppets which are involved with expression of body of the mime, but also various methods overcome limits of the silent are studied in this paper. Through the study of performance method and historic unfolding aspects, I confirm two main points. First point is that overcome limits of the silent, through the diversity of performance aspects. Second point is that silent puppets have been existed since the early stage of history, and show typical unfolding aspects on their way. Combining two main points, We can say that silent puppets go through continuous unfolding aspects on their way and have meaning of existence. The meaning of existence are that silent puppets seek deviant desire which deviate from everyday life and transcendental desire which seek a freedom through an imagination or an idea. It is interesting that the reasons of existence are associated with the emphasis of necessity which is encouragement of audience's desire and imagination that are necessary of accomplish of mime. After all, silent puppets say that diverse attempts which overcome limits of the silent are accomplished with the performance aspects and historic unfolding aspects, and through that sought unusual communic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methods and signification aspects, silent puppets say that diverse groping for which maximize of audience's imagination, stimulation of imagination for audience's spontaneousness, and diverse groping for audience mind performance have been performanced as well. I think that those are the voice of silent puppets for activity of mime in the korea.

본 연구에서 필자는 전통인형연행에 등장하는 무언인형에 주목했다. 무언인형을 실마리로 해서 마임의 '몸을 통한 표현'에 연결될 수 있는 인형의 움직임은 물론이고, 무언의 영역을 넘어서려는 여러 방식을 함께 주목했다. 무언인형의 연행방식 고찰과 역사적 전개양상 고찰을 통해서, 필자는 두 가지 사항을 확인했다. 첫 번째 사항은 그 연행양상의 다양성을 통해 무언이라는 한계 혹은 영역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 사항은 역사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지금까지 무언인형은 줄곧 존재해왔으며, 나름의 유형별 전개 양상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 두 가지 사항을 종합해 보면, 무언인형은 그 탄생 이래 지속적으로 나름의 전개과정을 거치면서 그 존재이유를 확보하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적어도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무언인형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그것이 나름의 의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무언인형은 일상에서 벗어나려는 일탈적 욕망과, 상상 혹은 관념을 통한 초월적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욕망을 표출하고자 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것이 곧 무언인형의 존재이유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무언인형의 존재이유는 마임의 완성에 꼭 필요한 존재로 중시되는 관객의 역할, 구체적으로 관객의 욕망과 상상력을 발흥시킬 필요성 강조와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결국 무언인형은 그 연행양상이나 역사적 전개양상을 통해서 무언을 넘어서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이를 통하여 '일상의 의사소통과는 다른 비일상적 의사소통 방식'을 부단히 모색하고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 또한 그 연행방식과 의미화양상을 통하여 '관객의 상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모색', '관객의 능동화를 위한 상상력 자극과 마음 속의 연행을 위한 여러 모색'을 수행해 왔음을 말하고 있다. 필자는 이것이 한국에서의 마임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무언인형이 건네는 말이라 생각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