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공연문화연구)
- Issue 18
- /
- Pages.47-72
- /
- 2009
Mime Elements in Court Hagmu ; focusing on literature and expression of current practice
궁중 학무에 나타난 마임적 요소 - 문헌과 현행의 표출 현상을 중심으로 -
- Son, Sun Sook (Danguk Univ)
- 손선숙 (단국대 대학원)
- Received : 2008.12.30
- Accepted : 2009.01.28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mime elements of court Hagmu(鶴舞) in literature and what is expressed in the practice of current Hagmu and examines what has been changed while others are kept intact. The content of Hagmu is that "attracted by lotus flowers in a pond, cranes dance around and peck at them, when the blossoms open wide with a girl [dancer] inside, upon which the surprised cranes fly away." The dance consists of 4 steps: the first step is for the entrance of cranes; in the second step the cranes dance moving across jidang(池塘) and the north; in the third step the cranes are curious about the lotus calyces, yeontong(蓮筒); and the cranes withdraw in the fourth step.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dancing courses on the stage are limited to the east, the west, the south, and the north. The movement is limited to naeson (內旋) only in mujin(舞進) and mutoe(舞退). Furthermore, the gaze is only allowed toward the north and jidang. Motions are limited to naejog(內足), oego (外顧), and naego(內顧). However, the mime elements of current Hagmu are attributed to the effort of translating crane's life into a realistic story. It relates the life of cranes to that of human beings and implies love in it. Finally, the court Hagmu has entered the real world out of the literature, enriched with new elements. Under the transition from literature to practice the diversity of expression is added while the elements related with court codes such as courses, movements, directions, and motions are kept intact. These limitations, however, are coupled with the sensitive 'love' and the exposure of dancing instruments intrigues audience and creates dramatic effect.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mime elements in court Hagmu is in enhancing communication with audience.
본 연구는 궁중 학무의 마임적 요소를 문헌을 통해 살피고, 현행의 학무에서는 어떠한 내용으로 표현되었는지, 그리고 변이된 것과 지속된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학무는 "연못에 핀 연꽃이 신기해 날아 들어와서 춤을 추다가, 연꽃이 신기해 고개를 갸웃거리다 부리로 연꽃을 쪼니 그 꽃이 벌어지면서 사람 [무희]이 나오자 학이 깜짝 놀라 날아 도망간다"는 내용이다. 모두 4단계로 구성되는데, 1단계는 학의 등장이다. 2단계는 지당과 북쪽을 왔다 갔다 하며 춤을 춘다. 3단계는 연통의 궁금증을 유발시키는 내용이다. 4단계는 퇴장이다. 무대 공간적 진행에 제한적 요소가 뒤따르는데, 이동은 동쪽, 서쪽, 남쪽, 북쪽 등으로 한정된다. 이동의 제한성은 내선(內旋)으로 한정되고, 이동 범위도 무진(舞進)과 무퇴(舞退) 두 가지 뿐이다. 방향의 제한성은 북향과 지당(池塘)을 바라보는 것으로 한정되었고, 동작의 제한성은 내족(內足), 외고(外顧), 내고(內顧)이다. 반면 현행에 나타난 학무의 마임적 문화현상은 학의 자연적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드러내어 스토리화 한 데에 있다. 학이라는 동물을 소재로 한 것이기 때문에 학의 생활상을 인간생활과 연계시켜 새로운 내용들이 더해져서 사랑이라는 감정을 관객에게 전달하였다. 문헌에서 현행 학무로 발현되는 과정에서 변이된 것이 표현의 다양성이라면, 반면 지속된 것은 공간 이동 방향 동작 등의 궁중예법과 관련된 제한적 요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적 제약이 오히려 '사랑'이라는 묘한 감정으로 대신 전달되었고, 무구를 관객에게 노출시키므로 해서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흥미와 신비감을 조성하여 극적효과를 가진다. 결론적으로 궁중 학무에서의 마임이란 관객과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관객과의 소통이 이루어진다는 데에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