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비정규직에 대한 규제완화와 직업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Deregulation to Non-standard Workers and the Job Satisfaction in Japan

  • 투고 : 2009.11.05
  • 심사 : 2009.12.12
  • 발행 : 2009.12.30

초록

일본은 1990년대 버블경제 붕괴에 따른 경제침체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비정규직의 규제를 완화하게 되면서, 기업 측은 보다 자유롭게 비정규직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비정규직에 대한 규제완화가 노동자 측의 직업생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하는데에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로서는 비정규직의 실태를 조사하고 있는 두 개의 일본정부 조사결과를 사용한다. 일본기업의 경우 '기업특수기능'의 내부화가 강하기 때문에, 비정규직의 규제완화에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가 크다고 하더라도 모든 업무를 비정규직으로 대체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업무를 명확히 구분하여, 정규직의 업무는 고도의 숙련이 필요한 기능을 중심으로 특화하며 줄여나가고, 그 이외의 업무는 외부에서 조달 가능한 기능으로 재편하며 비정규직을 늘리고 있다. 그 결과 정규직의 생산성은 향상되었으며, 그 만큼 임금수준도 상승하였다. 비정규직에 대한 규제완화 이후 비정규직의 직업생활 만족도가 저하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정규직의 직업생활 만족도는 상승하였다. 최근 일본정부는 비정규직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바꾸었다. 이러한 규제강화 정책은 비정규직 사용에 대한 기업 측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기 때문에, 비정규직이 감소하고 정규직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하게 됨으로써 비정규직의 직업생활 만족도 또한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deregulation on non-standard workers is inclined to make companies increase the employment of the non-standard workers because of cost-saving effect. As non-standard work rises, so involuntary choice of it does. This trend has resulted in the decline of the non-standard workers' job satisfaction. The internalization of firm-specific skills is strong in Japanese companies. Therefore, even though cost-saving effect is high, the companies cannot assign all the jobs to non-standard workers. Hence, the companies are likely to divide the jobs into standard worker's and non-standard workers' ones. The standard workers' jobs, which focus on high firm-specific skills, has reduced, while the non-standard workers' jobs, which can be outsourced from outside the companies,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productivity of standard workers has improved, and their wage levels have increased. Since the deregulation on non-standard workers, their job satisfaction has deteriorated. On the contrary, the job satisfaction of standard workers has increased.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명지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