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Korean Trade of International Tourism Services - Focusing on 16 nations including US, Japan and China -

한국 관광교역 현황분석을 위한 실증연구 - 미국·중국·일본 등 16개국을 중심으로 -

  • Chung, Eun-Kyung (the School of Tourism Management Kookje College) ;
  • Kim, Chul (College of International Trade Kyunghee University) ;
  • Choi, Young Jun (College of International Trade Kyunghee University)
  • 정은경 (국제대학 관광경영계열) ;
  • 김철 (경희대학교 무역학부) ;
  • 최영준 (경희대학교 무역학부)
  • Received : 2009.10.29
  • Accepted : 2009.12.12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ourism is an attractive field of industry to many countries due to its strong potentials in increasing employment rates as well as improving the national image. The positive effect of the tourism on the national economy and globalization has been recognized in Korea. A multilateral effort has been made in order to develop its tourist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s of tourism demand in Korea. The present study analyzes and demonstrates the effects of a nation's characteristics on tourism demand. The study model was based on factors that affected tourism demand, especially emphasizing on the economic size, distance, national income, and language differences from the mother country. In particular, this study highlights the effects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and their exchange rate on tourism demand. In summary, this thesis demonstrates that actu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panel data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research and precisely determine factors that have a direct influence on tourism demand. A corresponding strategy of development and products are required as most tourists show the preference in advanced nations.

본 연구는 관광이 목적인 아웃바운드 관광객, 인바운드 관광객들의 출입국자수가 들어있는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인 관광객의 해외관광수요와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관광수요에 미치는 요인을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인 관광객의 해외관광수요와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관광수요를 비교 조사함으로써 한국의 관광발전과 관광학술연구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분석을 위해 한국의 관광서비스의 주요국들 간 출입국통계를 활용한다. 분석의 대상 국가는 한국의 관광서비스의 주요 교역국이며 자료의 수입이 가능한 국가이다. 이를 기준으로 본 분석에는 16개국 즉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대만, 홍콩,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 영국, 독일, 프랑스가 포함 된다. 또한 2003년에서 2005년 통계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유는 통계자료 수집의 한계 때문이다. 특히 2006년 8월부터 출입국사무소의 목적별 출입국자수를 조사하는 통계처리 방식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16개국의 관광서비스 무역통계를 이용한다. 분석을 위해 한국의 출입국통계와 무역통계 그리고 각국의 경제지표들을 활용한다. 한국의 출입국통계는 한국관광통계를 활용하고, 무역통계는 세계무역통계 자료를 그리고 각국의 인구수, GDP, GNI 등은 한국은행통계시스템 자료와 통계청통계자료를 활용한다. 그리고 양국 간 비행거리는 항공사와 여행사 사이트의 통계자료를 활용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