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통정보 언론제공 연계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grated Press System Implementation for Traffic Information

  • 정성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첨단교통연구실) ;
  • 박회용 (경기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발행 : 2009.09.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언론매체 특성에 따른 요구정보 제공과 첨단교통정보의 효율적 활용, 사용자 중심의 편리한 교통정보 제공, 교통정보 유통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교통정보 언론제공 연계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외 교통정보 언론제공시스템 현황을 분석하고, 언론매체별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시스템 구축방안과 연계 제공체계를 구현함으로서 언론제공 통합연계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설계는 정보이용자와 정보공급자의 필요충분조건을 중재하여 보다 다양한 교통정보를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광역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효율적인 공간이동 및 경제적인 이용가치를 높이도록 하였다. 언론매체를 통한 교통정보의 제공은 도로운전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며, 교통정보 언론제공으로 인한 교통량의 분산 및 교통 혼잡완화가 예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egrated press system design for traffic information service by multi-connecting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which are now being serviced by each different requirements for the press service and by providing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ervice which organically user oriented design such as traffic broadcast, news, journal, semantic web and also related traffic ontology as well as road traffic information. For the objective,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traffic information supply system was analyzed and then the requirements by media were reviewed. Then, by analyzing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and the implementation system the method of implementing such the system was suggested. The design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enabled the information users to utilize a variety of traffic information through intervening between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information users and information suppliers. Throughout the result of this study, for the users who used the integrated transport, the efficient space movement and the economic using value was improved. Providing the traffic information through the press media will become useful information to road drivels, and it is effected that the traffic volume will be dispersed and the traffic jam will be relieved owing to the supply of traffic information to the press.

키워드

참고문헌

  1. 언론재단, 언론 경영성과 분석, 2008.
  2. DOT, ITS Handbook, John Wily & Son, 2000.
  3. 국토해양부, 국가 ITS 기본계획 수립방안 연구, 2009.
  4. 국토해양부, 국가교통정보센터, http://www.its.go.kr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국도 ITS인프라 구축 설계보고서, 2008
  6. 日本 VICS, Introduction to VICS & JARTIC, 2007.
  7.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reeway Management and Operations Handbook", FHWA, 2003.
  8.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Code of Federal Regulations, 2005.
  9.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via TPEG_CEN Standard review, 2007.
  10. Traffic Advisory Unit, "Traffic and Traveller Information Services", ITS Department for Transport UK, 2003.
  11. 국토연구원, 국가 ITS 아키텍처 확립을 위한 연구 -제2편-, 1999.
  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통정보제공 기반조성에 관한 연구, 2007.
  13. 이순철, 교통심리학, 학지사, 2000.
  14. FDOT, SunGuide, http://www.sunguide.org
  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TS교통정보 신뢰성 개선 및 평가 연구, 2008
  16. ISO 14819, "Traffic and Traveller Information via the Traffic Message Channel. Protocol, Message Set and Location Coding", 2003.
  17. ISO 14821, "Traffic and Traveller Information via Cellular Telephone Networks", 2003.
  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시간 환승교통 종합정보제공 시스템, 2007
  19. 국토해양부, 기본교통정보 교환II 기술기준, 2008
  20. 한국교통연구원, 지능형교통체계 기본계획(안)공청회, 2006.
  21.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센터, http://www.ex.co.kr
  22. 서울고속도로(주), http://www.topis.co.kr
  23. Helen Sharp, Yvoune Rogers, Jennifer Preece, "Interaction design: beyo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John wiley & sons. inc. 2007.
  24. ISO 14823, "Graphic Data Dictionary for Stationary Dissemination Systems", 2003.
  25. ISO 18234, "Traffic and Traveller Information via High Data Rate Digital Broadcast Bearers", 2003.
  26. 정성학, "교통정보 안내전화 통합연계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 14권, 제 1호, 205-216쪽, 2009년 1월.
  27. 주해종, 나종희, "공공부문의 효율적인 정보자원관리를 위한 조사 개선방안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 12권, 제 6호, 289-277쪽, 2007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