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ophysical Well-log Analysis of Andesite and Sedimentary Rocks in Myodo-dong, Yeosu, Southern Korea

여수시 묘도 부근 퇴적암과 안산암에서 물리검층에 대한 자료해석

  • Leem, Kook-Mook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ng-Oh (Department of Geotechnical Design Engineering, Daejeon University) ;
  • Yu, Young-Chul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ong, Moo-Young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임국묵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 박종오 (대전대학교 지반설계정보공학과) ;
  • 유영철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 송무영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We carried out the Suspension PS log and gamma-gamma log in andesite and sedimentary rocks distributed near the area of Myodo-dong, Yeosu.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seismic velocities and densitie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the two rocks by comparing their geophysical well logs with rock cores. The distributions of P and S-wave velocities for two rocks represented in the study area showed a difference of about 2,000 m/sec and 1,500 m/sec with depth, respectively, while the distributions of densities had a discrepancy of about $0.35g/cm^3$ with depth. However, the results of geophysical well logs analysis were similar to the two rocks. Consequently, it is clear that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a difference due to weathering rather than rock type. In particular, the RQD values showed a good correlation to geophysical well log data.

여수시 묘도 일대에 분포하는 안산암과 퇴적암 지역에서 물리검층 종류인 부유식 P S파 속도검층과 밀도검층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은 이 지역에 분포하는 두 암상에 대해 깊이에 따른 탄성파속도 및 밀도분포를 찾아내어 시추조사를 통해 얻은 지반정보인 암상과 RQD 값을 비교하여 암석 종류에 따른 상호간에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지역에서 두 암석에 대한 탄성파 속도 분포는 깊이에 따라 P파가 약 2,000m/sec 내외이며, S파가 1,500m/sec 내외의 차이를 보였으며, 밀도는 깊이에 따라 약 $0.35g/cm^3$의 차이로 비교적 넓은 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암석 종류에 대한 차이보다 풍화 정도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RQD, 탄성파속도 및 밀도의 상관성 분석은 비교적 높은 관계를 보이므로 물리 검층자료의 결과를 이용하여 RQD에 관련된 불연속면의 빈도를 유추할 수 있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길준호, 2003, 영광지역 해수침투 평가를 위한 물리검층의 적용. 충남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66p
  2. 김영화, 김지훈, 이성진, 2006, 케이싱 환경에서의 밀도자료보정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지질공학회, 16, 429-435
  3. 김영화, 김기주, 임헌태, 김지훈, 공남영, 2004, 밀도검층 검출기 보정에 관한 기초연구. 지구물리, 7, 237-245
  4. 김영화, 양영근, 김중열, 김유성, 2001, 석회암지역에서 불연속면의 물리검층반응. 지구물리학회, 4, 95-102
  5. 박삼규, 김희준, 1994, 거제도지역 지질조사에 대한 물리검층의 적용성. 자원환경지질학회, 27, 289-294
  6. 박용안 외, 1989, 한국지질도(1:5000). 여수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7. 송무영, 김환석, 박종오, 2002, 시추공물리탐사를 통한 지반물성과 암상과의 상관성 분석. 대한지질공학회, 12, 127-135
  8. 유근환, 장찬동, 2006, 다양한 시험법으로 규명된 암반탄성계수 비교, 대한지질공학회, 16, 1-14
  9. 유영철, 송무영, 임국묵, 2007, 경기도 하남시 인근 호상편마암 지역에서 Suspension P-S 속도검층 자료분석. 대한지질공학회, 17, 623-632
  10. 조진문, 송무영, 임국묵, 유영철, 김명식, 2005, 지반물질에 대한 물리검층과 밀도값과의 상관성 분석. 2005년도 한국지구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 72-78
  11. 황세호, 이상규, 1991, 물리검층에 의한 파쇄대 인식과 동적지반정수의 산출. 한국지구물리학회 1991년도 제 2회 학술발표회, 161-162
  12. Sjogren, B., Ofsthus A., and Sandberg, J., 1979, Seismic classification of rock mass qualities. Geophysical prospecting, 27, 409-442 https://doi.org/10.1111/j.1365-2478.1979.tb00977.x
  13. Yoshikazu, K., Shigem, M., radao, H., and Kiyoshi, M., 1997,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geophysical prospecting and geotechnical properties. Soils and Foundations, The Japanese Geotechnical Society, 45, 11-14 (in Japanese)